글로벌 투자자들이 주식과 같은 위험자산 비중을 지난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당시와 비슷하게 줄인 것으로 확인됐다.
뱅크오브아메리카(BofA)가 지난 8∼15일 펀드매니저 259명 등 글로벌 투자자들을 대상으로 한 월간 설문조사에서 주식에 대한 투자 배분은 금융위기 당시인 2008년 10월 이후 가장 낮은 수준으로 떨어졌다.
이번 설문에 참여한 펀드매니저들은 총 7천220억달러의 자산을 운용하고 있다.
조사 결과 글로벌 경제 성장과 기업 이익에 대한 투자자들의 기대가 역대 최저 수준으로 추락한 반면, 경기침체 전망은 코로나19 사태 초기인 2020년 5월 이후 가장 높았다.
BofA는 투자자들의 이런 심리 상태를 대단히 심각한 경제 전망에 따른 '완전한 항복'(full capitulation)의 신호라고 해석했다.
이처럼 불확실성이 높아짐에 따라 투자자들의 자산 포트폴리오에서 현금 비율이 6%를 넘어 2001년 이후 21년 만에 최고치로 치솟았다.
보통보다 낮은 수준의 리스크만 감수하고 있다고 답한 펀드매니저는 전체 응답자의 58%로 글로벌 금융위기 때보다 많았다.
설문 응답자들은 인플레이션을 가장 큰 '꼬리 위험'(발생 가능성이 낮고 예측하기 어렵지만 한 번 발생하면 큰 영향을 미치는 위험)으로 지목하면서도 내년(2023년)에는 물가상승률이 낮아질 것으로 내다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