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lam News

“규모 7.0 이상 여진 또 덮칠 수도”


튀르키예와 시리아에 규모 7.0 이상의 강력한 여진이 발생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미국 지질조사국(USGS)은 11일(현지시간) 발표한 보고서에서 튀르키예 지진의 3가지 향후 시나리오를 제시했다.

첫 번째 시나리오는 앞으로 규모 5.0∼6.0의 중간 정도 지진이 이어지며 여진의 빈도가 줄어드는 경우다. 발생 확률은 약 90%로 세 가지 시나리오 중 가장 높다.

두 번째는 규모 7.0을 넘기는 여진이 추가로 발생하는 상황이다. 지난 6일 발생한 규모 7.8의 본진보다 약하지만 충분히 파괴적인 규모다. 두 번째 시나리오의 발생 가능성은 약 10%로 크지 않다. 하지만 USGS는 “(규모 7.0의 여진은) 피해지역에 또다시 영향을 미치면서 추가 여진 빈도를 활성화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마지막 최악의 시나리오는 규모 7.8과 비슷하거나 더 강한 지진이 발생하는 경우다. 확률은 약 1%로 매우 낮지만 피해 지역과 인접 지역에까지 추가 피해를 발생시킬 수 있다.

보고서에 따르면 이번 지진으로 튀르키예와 시리아 내 사망자가 10만명을 넘길 확률은 26%다. USGS는 “큰 여진은 이미 약해졌거나 부실하게 건축된 구조물에서 추가적인 피해를 일으킬 수 있다”며 “여진은 빈도가 낮아지더라도 수개월 이상 지속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한편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튀르키예기업연맹 튀르콘페드는 12일 이번 지진으로 발생한 튀르키예의 경제 손실 규모가 840억 달러(107조2680억원)를 넘겼다고 밝혔다. 튀르키예 국내총생산(GDP)의 10%에 해당하는 액수다.

튀르콘페드는 지난 6일 발생한 규모 7.8과 7.5의 두 차례 강진으로 주거용 건물에만 708억 달러(90조4116억원) 상당의 피해가 생겼으며 국민소득 손실 104억 달러(13조2808억원)가 추가 발생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노동력 손실도 29억 달러(3조7033억원)에 이를 것으로 전망했다. 이번 추산은 1999년 튀르키예 북서부 이즈미트에서 발생해 약 1만7000명의 목숨을 앗아간 지진을 바탕으로 진행됐다.

백재연 기자 energ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