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멘트]
올해 (2023년) 들어 의회에는 성소수 LGBTQ+ 커뮤니티를 위축시키는 법안들이 대거 상정되면서 그동안 트랜스젠더 권리를 보장하던 움직임에 제동이 걸리고 있는 모습입니다.
특히 공화당 성향이 강한 주를 중심으로 트랜스젠더 청소년의 의료 접근을 막기 위한 법안이 100개 가까이 나오면서 공방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김신우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전국에서 성소수자 관련 입법에 대한 공방으로 치열한 논쟁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올해 들어 의회에 제출된 반 성소수자 법안이 300개가 넘는 가운데 트랜스젠더들은 권리 박탈이라며 반대 목소리를 높이는 등 격렬하게 대치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의회에서 논의되는 법안들로는 학교 내 대명사 사용, 생물학적 성에 따른 화장실 사용, 트랜스젠더들의 스포츠 팀 소속 관련, 드래그 퀸 쇼 금지안 등이 있습니다.
그중에서도 청소년 성전환 의료 접근권을 둘러싼 공방전은 특히 격화되는 모습입니다.
법안은 청소년의 성전환 수술이나 시술 시 의료진은 물론 보호자까지 아동학대로 처벌한다는 것이 골자입니다.
여기에는 교차성 호르몬, 사춘기 차단제 투여 등도 포함됐습니다.
절반이 넘는 27개 주에서 청소년의 성전환을 막기 위해 100개에 달하는 이 같은 법안이 상정됐고 과반수 유권자들이 지지 의사를 나타내기도 했습니다.
미국인의 58%가 적어도 미성년자에게 성전환 수술을 하는 것을 불법화하는 법안에 찬성했고 34%만이 금지법 제정에 반대했습니다.
유권자들은 지난 수년 동안 성소수자를 위한 새로운 입법과 정책이 만들어지면서 청소년들의 삶에도 장기적 영향을 끼쳤다고 비판했습니다.
이어 미성년자의 성전환의 대가는 골다공증, 기분 장애, 불임, 등 부작용이며 평생 동안 심장 마비와 뇌졸중, 당뇨병, 혈전, 암의 위험성을 안고 살아야 한다고 지적했습니다.
보수 싱크탱크 헤리티지 재단의 제이 리처즈 (Jay Richards) 선임연구원은 올해 2023년이 법적 측면에서 미성년자 성별 확증 치료 (gender-affirming care)의 결정적인 해가 될 것이라고 내다봤습니다.
이어 "공화당 의원들이 주 의회에서 관련 법안을 제대로 처리하면 정치적 이득이 될 것"이라고 평가했습니다.
라디오코리아 뉴스 김신우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