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에서는 여당인 국민의힘이 윤석열 대통령 때문에 진퇴양난에 빠진 모습이다.
국민의힘이 한치 앞을 내다보기 힘든 '탄핵 정국'에서 윤석열 대통령과의 관계를 설정하기가 대단히 어렵기 때문이다.
어떤 스탠스를 취한다고 해도 문제가 되기 때문에 사실상 국민의힘은 딜레마에 빠진 분위기다.
국민의힘은 현재 윤석열 대통령과의 관계에 대해 단절하지 않았지만, 윤석열 대통령을 엄호하는 것은 아니라는 입장이다.
국민의힘 관계자는 연합뉴스와 통화에서 현재로서는 당이 윤석열 대통령을 방탄한다고 보여서는 안된다고 말했다.
그렇다고 윤석열 대통령을 버렸다고도 보여서도 곤란한 상황이라고 언급해서 힘든 상황임을 시사했다.
국민의힘의 이런 태도는 윤석열 대통령이 지난 1일(수) 관저 앞 집회에 참석을 했던 지지자들에게 보낸 편지에 대한 반응에서 단적으로 드러났다.
새해 인사라면서 "끝까지 싸울 것"이라고 한 윤석열 대통령의 편지를 두고 국민의힘 지도부는 공식적인 입장 표명을 하지 않았을 만큼 당혹해했다.
일부 지지자들만을 보고 계속 버티겠다는 윤석열 대통령에 다수의 국민적 여론이 부정적이어서 반응을 하기가 어려운 상황이다.
국민의힘의 한 당직자는 윤석열 대통령 메시지에 대해서 편지에 대한 해석이 사람마다 다른 것 같다고 말했다.
국민의힘은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에 대해서는 매우 비판적이다.
공수처의 윤석열 대통령 체포영장 집행 시도, 헌법재판소의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 문제에 대해서는 잇따라 입장을 내놓았는데 매우 부정적이고 비판적인 내용이었다.
체포영장 청구·발부·집행이 공수처와 법원의 '월권'이라고 했고, 헌법재판관 임명과 국회 탄핵소추단이 탄핵 사유에서 '내란죄'를 철회한 것을 위헌적 요소가 있을 뿐 아니라 절차적 정당성이 결여됐다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국민의힘은 윤석열 대통령 체포, 탄핵 심판 문제에 대해 당이 나타내는 공식적인 입장이 공당으로서 해야할 도리라고 언급했다.
즉 윤석열 대통령 개인을 비호하거나 계엄을 옹호하는 차원은 아니라는 것을 분명히 한 것이다.
탄핵을 반대하는 보수 지지자들 마음을 잃지 않으면서도 비상계엄 사태에 비판적인 중도층 마음도 얻으려는 시도로 풀이된다.
권성동 원내대표는 전날 국회에서 열린 의원총회에서 국민의힘이 공수처의 대통령 체포영장 집행을 비판하는 것은 대통령 지키기가 아니고 법질서, 법치주의, 대한민국 지키기라고 강조했다.
만약 탄핵이 인용되고 조기 대선 시나리오가 전개될 경우 윤석열 대통령 딜레마는 국민의힘에 어떤 형태로든 큰 부담을 주게 될 수밖에 없을 것이라는 분석도 나온다.
조기 대선 상황에서 윤석열 대통령과 결별하지 않을 경우 '계엄 동조 세력'이라는 야당의 공세에서 벗어나기 어렵게 되고, 윤석열 대통령과 관계를 단절한다면 극렬 지지층의 반발과 당의 분열 양상이 나타날 수 있어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고 있다.
당 지도부는 일단 '통합과 쇄신'이라는 구호를 앞세우고 있다.
어정쩡한 스탠스를 유지하면서 소나기를 피해간다는 전략이다.
하지만, 국민의힘 내에서는 시간이 갈수록 윤석열 대통령과의 관계 재정립이 시급하다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조기 대선 시계가 빨라질 가능성에 대비해 언젠가 해야할 이별을 늦춰서는 안 된다는 주장이다.
일각에서는 당이 윤석열 대통령과 결별을 주저하는 배경에는 주류인 영남권 의원들의 정서가 작용하는 것 아니냐는 지적도 나온다.
한 수도권 원외 당협위원장은 영남 의원들이 4년 뒤 치를 총선을 내다보고 일부 지지층 여론만을 의식한다면 조기 대선은 승산이 없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