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이 재임할 당시 주한미군 완전 철수를 주장했다는 증언이 또다시 나왔다.
마크 에스퍼 전 국방장관은 회고록 '성스러운 맹세'(A Sacred Oath)에서 트럼프 전 대통령이 제안한 것 중 일부는 기이했다며 주한미군의 완전한 철수 또는 아프리카에서 모든 미군과 외교인력 철수 같은 것이라고 폭로했다고 정치전문매체 폴리티코가 오늘(9일) 보도했다. 폴리티코는 발간을 하루 앞둔 에스퍼 전 장관의 회고록의 일부를 입수해 이날 이같이 전했다. 폴리티코에 따르면 에스퍼 전 장관은 회고록에서 "이 중 어느 것도 우리의 국익에 부합하지 않았고, 나는 팩트와 데이터, 논거로 침착하게 트럼프에 대응했다"며 "하지만 난 그가 약간 짜증을 내는 것을 봤다. 난 그에게 반발하는 새로운 사람이었던 셈"이라고 언급했다. 그러면서 일이 예상했던 것보다 더욱 도전적일 것이란 걸 곧바로 알아차렸다고 덧붙였다. 트럼프 전 대통령이 현직에 있을 때 사석 등에서 주한미군 감축 및 철수를 주장해왔다는 사실은 그간 여러 전언을 통해 익히 알려졌지만, 에스퍼가 당시 주무장관으로서 이를 재차 확인한 것이다. 에스퍼 전 장관은 2019년 국방장관으로 발탁된 이후 각종 국방 정책을 놓고 트럼프 전 대통령과 갈등을 빚다 2020년 말 대선 직후 경질된 인사다. 트럼프 전 대통령은 집권 내내 동맹에 대한 '무임승차론'을 주장하면서 방위비 대폭 증액을 압박했었다. 한국에도 방위비 분담금을 5배 수준으로 인상하라고 압박했고, 이를 주한미군 감축 등과 연계하려 한다는 얘기도 나돌았다. 동맹 중시 기조의 조 바이든 대통령으로 정권이 교체되면서 분담금 협상이 타결되고 주한미군 철수 논란도 잦아들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