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멘트]
LA시가 거리에서 자격없이 자전거를 수리하고 판매하는 행위 금지안 추진합니다.
이는 도난된 자전거를 판매하거나 분해한 부품들로 수리하는 행태가 만연하기 때문인데 일각에서는 노숙자를 겨냥한 안으로 차별을 초래한다는 비난이 나옵니다.
이황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LA시가 자격없는 주민이 길거리에서 자전거를 수리하거나 판매하는 행위를 금지하는 안 추진에 나섰습니다.
LA시의회는 어제(14일) 특별 미팅(Special Meeting)을 통해 길거리에서 자전거를 수리하거나 판매하는 행위를 금지한다는 내용을 골자로 하는 안을 11 - 3으로 승인했습니다.
반대표는 니티야 라만과 마이크 보닌, 커런 프라이스 시의원이 던졌습니다.
이는 훔친 자전거를 해체해 부품을 판매하거나 재조립해 파는 행위가 길거리에서 자행되는 것을 예방하기 위한 취지입니다.
단, 유효한 라이센스를 소지한 주민 또는 자전거를 타다 고장으로 수리해야하는 경우 등은 면제됩니다.
이 안은 에릭 가세티 LA시장이 서명할 경우 그 시점부터 30일 이후에 발효됩니다.
이처럼 LA시가 길거리 자전거 수리, 판매 행위를 금지하는 것은 절도당한 자전거들이 해체된 뒤 부품별, 또는 재조립해 판매되는 행위가 기승을 부리고 있기 때문입니다.
LA시에서는 매년 2천 - 2천 500 여대의 자전거 절도 신고가 접수되고 있는 실정입니다.
하지만 절도에 대한 대응은 미미합니다.
LAPD에 따르면 최근 몇 년 동안 접수된 자전거 절도 사건의 96%가 해결되지 않았습니다.
결국 그러한 자전거들이 분해되어 부품으로 팔리거나 재조립된 뒤 되팔리고 있는 것입니다.
LA한인타운 벌몬과 4가 코너에는 노숙자가 거주하는 텐트 뒤에 수 십 대의 자전거 프레임과 부품들이 탑처럼 쌓여 방치되면서 문제가 되기도 했습니다.
이 안을 상정한 조 부스카이노 LA 15지구 시의원은 앞선 안이 해결되지 않는 자전거 절도 사건 발생 빈도를 대폭 줄이는 것은 물론 거리 미화 환경을 개선해 주민 삶의 질이 높아질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이런 가운데 일각에서는 길거리상 자전거 수리, 판매 안이 정치적인 계산으로 노숙자를 겨냥한 안이라는 비난이 나옵니다.
니티아 라만 시의원은 이 안이 실질적인 대응책 없이 자전거 절도를 해결하겠다는 보여주기식의 계획이라고 지적했습니다.
이어 자전거 보관함 등 자전거 절도를 예방할 수 있는 길이 있지만 소수계와 노숙자를 겨냥하는듯한 앞선 안을 선택했다고 덧붙였습니다.
라디오코리아 뉴스 이황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