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베 신조 전 일본 총리가 총에 맞아 숨진 지난 8일 주후쿠오카 대한민국 총영사관이 한국을 대상으로 한 혐오범죄 가능성이 제기된다며 ‘신변안전 주의공지’를 SNS에 올렸다. 이에 일본 누리꾼들은 “일본인을 범죄자로 취급하느냐”며 항의했다. 한국 누리꾼들도 “용의자는 일본인인데 왜 한국인이 조심해야 하나”라며 반발했다. 이 공지문은 결국 삭제됐다.
이날 주후쿠오카 한국 총영사관은 공식 트위터를 통해 ‘신변안전 주의’라는 제목의 공지문을 올렸다. 공지글에는 “우리 국민 대상 혐오범죄 가능성이 제기된 바 주의 환기를 위한 안전 공지를 게재한다”며 “위험지역에는 접근하지 마시고 신변의 위협을 느끼거나 위험한 상황 발생 시 즉시 공관 긴급전화 및 경찰(110)에 신고해 주시기 바란다”는 내용이 적혔다.
이를 본 일본 누리꾼들은 일본인을 잠재적 범죄자로 취급한다며 거세게 반발했다. 이들은 “후쿠오카에 살고 있지만 한국인에 대한 혐오범죄 가능성이 있다는 이야기는 들어본 적 없다” “혐오 조장하지 마라”고 지적했다.
항의가 이어지자 영사관은 해당 게시물을 결국 지웠다. 영사관 측은 혐오범죄 관련 신고가 들어온 건 없지만 혹시 모를 위험을 대비해 올린 공지문이었다고 설명했다.
실제로 아베 피격 사건 이후 일본 SNS에는 용의자가 재일 한국인 아니냐는 의심 글이 이어진 바 있다. 다만 경찰이 현장에서 체포한 용의자 야마가미 데쓰야의 신상이 빠르게 공개되면서 의혹은 사그라들었다.
영사관 공지에 국내 누리꾼들의 반발도 이어졌다. 여러 누리꾼은 “용의자는 일본인인데 왜 한국인이 조심해야 하냐” “일본은 툭하면 한국인 머리채 잡는다” “괜히 일본에 있는 한국인들 걱정된다” 등의 우려를 표했다.
윤석열 대통령은 국내에 마련되는 아베 전 총리 빈소를 찾아 조문할 예정이다. 대신 윤 대통령은 한덕수 국무총리를 대표로 하는 조문사절단을 일본에 파견한다.
대통령실 관계자는 10일 “윤 대통령이 조만간 주한 일본대사관에 차려질 빈소를 찾아 아베 전 총리를 조문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일본 최장수 총리가 정치적 테러란 불의의 사고로 생을 마감했다”며 “인간적인 예우 차원에서 분향소 조문을 결정한 것이지 정치적 의도는 전혀 없다”고 했다.
구자창 기자 critic@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