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lam News

아베 피격에 ‘안중근’ 소환한 WSJ…서경덕 “역사 인식 부재”


서경덕 성신여대 교수가 미국 월스트리트저널(WSJ)이 아베 신조 전 일본 총리 피격 사건을 안중근 의사의 하얼빈 의거에 빗댄 것을 두고 “명백한 역사 인식의 부재”라고 비판했다.

서 교수는 14일 페이스북에 WSJ의 ‘아베 신조 피격은 일본의 전쟁 기간 동안의 정치적 폭력 역사를 상기시킨다’는 제목의 기사를 공유했다.

WSJ가 지난 8일 보도한 기사로, “아베 전 총리의 죽음이 일본 전체에 큰 충격을 줬다”며 과거 2차세계대전 동안 일본에서 일어난 정치적 암살 사건을 다뤘다. WSJ은 먼저 이토 히로부미를 “일본에서 가장 영향력 있고 최장기 재임한 총리”라고 소개하고 “그는 1909년 중국 북동부에 있는 기차역에서 살해됐다. 암살자는 일본의 식민 지배에 반대한 한국의 민족주의자”라고 보도했다.

안중근 의사의 의거 외에도 1921년 11월 하라 다카시 일본 전 총리가 도쿄역 철도 개찰원에게 흉기에 찔려 살해된 사건과 1936년 2월 다카하시 고레키요 전 총리가 쿠데타 세력에 의해 암살된 사건을 차례로 들었다.

서 교수는 이를 두고 “다른 사건들은 일본 내부의 정치적 문제로 인한 폭력 사건인 반면에, 안중근 의사의 이토 히로부미 저격은 ‘독립운동’의 일환”이라며 “이번 기사에서 안중근 의사의 ‘하얼빈 의거’를 예시로 다룬 것은 WSJ의 명백한 ‘역사 인식 부재’라고 판단된다”고 말했다.

서 교수는 “WSJ에 기사 수정요청을 해야 할 것 같다. 전 세계 독자들이 이번 기사로 인해 역사적인 오해를 할 수 있기 때문이다”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지난 2018년 평창동계올림픽 개회식 당시, 미국 NBC의 중계방송 중 한 해설자가 일본의 한국 식민지배를 옹호하는 듯한 발언으로 물의를 빚자 공식 사과하기도 했다”고 덧붙였다.

끝으로 서 교수는 “앞으로 미국 언론에 한국의 문화와 역사를 제대로 알릴 수 있는 캠페인을 더 펼쳐 나가겠다”고 의지를 밝혔다.

서민철 인턴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