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lam News

연준 올해까지 금리 인상...내년엔 인하하나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이 두 달 연속 마이너스를 기록하면서 연방중앙은행이 기준금리 인상 속도조절에 나설 것이란 전망이 나왔다.
금융시장에 따르면 경기침체 이슈가 향후 통화긴축 방향에 중요한 변수로 작용할 전망이다.

연준은 지난 26~27일 열린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에서 정책금리 목표범위를 1.50~1.75%에서 2.25~2.50%로 0.75%포인트 인상하기로 결정했다.

지난달(6월)에 이어 2개월 연속 '자이언트 스텝'에 나서면서 지난달 연준이 경제전망에서 제시한 중립금리(2.5%) 수준에 도달했다. 

중립금리는 경기가 과열되지도 침체하지도 않는 금리 수준을 말한다.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은 인플레이션을 낮추기 위해 성장을 둔화시킬 필요가 있다며 다음 회의에서도 이례적으로 큰 폭의 금리인상이 적절할 것 같다고 말했다. 

이는 오는 9월 FOMC에서도 0.5%포인트 또는 0.75%포인트 금리 인상이 이뤄질 것임을 뜻한다.

또 어느 시점에서 금리인상 속도를 늦추는 것이 적절할 수 있으며 그 시점은 결정되지 않았다고 말했다. 금리인상 속도 조절 가능성을 시사한 것이다.

연준은 이미 지난달 FOMC 금리전망 점도표에서 올해 연말 기준금리가 3.4%가 될 것으로 내다봤다. 

금리전망 점표는 연준위원들이 전망하는 연간 최종 금리 수준으로 연말 정책금리가 3.5% 수준이 될 것으로 예상하는 것이다. 

올해 남은 연준의 FOMC는 9월20~21일, 11월1~2일, 12월 13~14일 등 세 차례다. 

전망대로라면 남은 세 차례의 회의 중 9월 0.5%포인트, 11월 0.25%포인트, 12월 0.25%포인트 금리인상을 할 가능성이 높다.

또 점도표상 내년 연말 금리전망은 3.8%다. 연준 위원들이 내년에 3.75% 수준에서 금리인상이 마무리 될 것으로 보고 있는 것이다. 

내년 금리 인상이 한 차례에 그칠 수 있다는 것을 뜻한다.

향후 통화정책 방향에서 가장 중요한 변수는 경기침체 여부가 될 전망이다.

앞서 연방 상무부는 2분기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이 전기대비 0.9% 하락했다고 발표했다. 

이에 따라 1분기(-1.6%)에 이어 2개 분기 역성장하면서 기술적 경기침체에 들어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