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lam News

“계속 춤춰” 美 힐러리 응원…핀란드 총리 “고마워요”


힐러리 클린턴 전 미국 국무장관이 이른바 ‘광란의 파티’ 영상 유출로 논란이 된 산나 마린 핀란드 총리를 옹호하고 나섰다. 클린턴 전 장관은 SNS를 통해 마린 총리에게 “계속 춤추라”며 응원을 보냈고, 이에 마린 총리는 “고맙다”고 화답했다.

클린턴 전 장관은 28일(현지시간) 트위터에 “국무장관 시절 회의 참석차 카르타헤나에 있던 내 모습”이라면서 자신이 한 파티 장소에서 춤추며 즐기고 있는 모습이 담긴 사진 한 장을 올렸다. 이어 마린 총리 계정을 태그해 “계속 춤추라”고 적었다.

그는 선배 여성 정치인이자 텍사스주(州) 주지사를 지낸 앤 리처즈(1933∼2006)가 “진저 로저스는 프레드 아스테어가 했던 모든 것을 다했다. 그저 하이힐을 신고 그것을 거꾸로 했을 뿐”이라고 했던 발언도 언급했다.

진저 로저스(1911∼1995)는 1941년 아카데미 여우주연상을 받은 할리우드 스타이고, 프레드 아스테어(1899∼1987)는 그녀와 ‘환상의 커플’을 이뤘던 배우 겸 댄서다. 두 사람은 1930년대 여러 편의 뮤지컬에 함께 출연하며 현란한 탭댄스 실력을 선보였다.

힐러리가 언급한 발언은 진저가 하이힐을 신고 춤을 추는 등 여성으로서 남성보다 힘든 환경 속에서도 수준 높은 퍼포먼스를 보여줬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

힐러리가 마린 총리를 응원하면서 이 표현을 인용한 것은, 마린 총리를 향한 여론의 비판에 여성 정치인에게 더욱 엄격한 잣대를 들이대는 차별적인 요소가 있다고 지적하려던 것으로 보인다.


마린 총리는 클린턴 전 장관의 이 게시물을 자신의 계정에

트위터 등에서는 ‘산나와의 연대’ ‘산나마린’ 등의 해시태그와 함께 자신의 춤추는 영상을 올려 마린 총리를 응원하는 게시물이 번지고 있다.

앞서 마린 총리는 핀란드 유명인사들과 자택과 클럽 등에서 격정적으로 춤을 추며 파티를 즐기는 영상 유출로 고위 공직자 사생활 범위에 관한 논쟁을 불러일으킨 바 있다. 마린 총리는 “공적 업무와 무관한 사생활일 뿐”이라며 “나도 즐길 권리가 있다”고 항변했다.

그러나 마린 총리의 초청으로 총리 관저를 방문한 여성들이 공적 장소인 관저 내에서 부적절한 사진을 촬영한 정황이 공개되자 결국 국민 앞에 고개를 숙였다.

박성영 기자 ps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