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 진행된 지구 온난화로 녹는 것을 막을 수 없는 그린란드의 빙하가 110조t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로 인해 지구 해수면이 27㎝가량 올라갈 수 밖에 없을 것이라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30일 영국 일간 가디언과 AP통신 등에 따르면 덴마크·그린란드 지질연구소 연구팀은 최근 ‘네이처 클라이미트 체인지’에 이같은 내용의 논문을 게재했다.
논문에 따르면 빙하는 원래 계속 녹으면서도 동시에 눈으로 보충되면서 균형을 이뤄왔다. 그런데 이상 고온으로 이런 균형이 깨져버려 빙하의 일정량은 지구촌이 당장 내일 모든 탄소배출을 중단한다 하더라도 무조건 녹을 수밖에 없는 상태에 있다는 게 논문의 요지다.
논문의 공동 저자 윌리엄 콜건은 AP와 인터뷰에서 녹을 수밖에 없는 상황에 처한 빙하를 '죽은 얼음'(Dead ice)으로 칭하면서 “이 얼음은 앞으로 기후가 어떻든 상관없이 녹아서 해수면 높이를 올리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 같은 ‘좀비 빙하’가 녹아 바다로 흘러들면 지구 해수면은 평균 27㎝ 높아질 것으로 관측됐다. 그린란드 빙하가 녹으면 해수면이 올라갈 것이라는 연구 결과는 이미 여러번 나온 것이다. 그러나 27㎝ 상승은 지금껏 나온 연구에서 제시된 예측치의 두 배 수준에 달하는 충격적인 결과다.
이런 상태가 되면
해수면 상승으로 인해 이상 기후는 더욱 극단적이고 예측불가능한 상태가 될 수 있는 것이다.
논문 주저자인 제이슨 복스는 “무덤에 한 발을 들여놓은 것과 같은 상황”이라고도 지적했다.
연구팀은 그러나 이조차도 매우 낙관적인 전망이라고 평가했다. 2012년에 최악의 해빙이 관측된 바 있는데, 이런 상황이 거듭될 경우 그린란드 빙하가 녹는 양은 더 늘어날 수 있기 때문이다.
연구팀은 최악의 경우 해수면은 78㎝까지도 더 올라갈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다만 이 연구는 해수면 상승의 시기가 언제일지에 대한 내용은 구체적으로 언급되지 않았다. 콜건은 “이 그린란드 빙하가 언제까지 녹을지 알 수 없지만, 예측하자면 이번 세기말이나 2150년까지는 녹을 것”이라고 말했다.
영국 엑스터대 교수 게일 화이트먼은 “이 연구 결과는 우리 모두 무시할 수 없는 내용”이라면서 “이는 해안 지역에 거주하는 전 세계 6억명에게 나쁜 소식”이라고 말했다.
조민영 기자 mym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