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lam News

모든 돌연변이 무력화…새 코로나19 항체 확인


이스라엘 연구진이 지금까지 확인된 모든 종류의 코로나19 변이를 무력화할 수 있는 2종류의 항체를 찾아냈다.

텔아비브대학 새클러 의학부의 나탈리아 프로인트 박사 연구팀은 코로나19 대유행기였던 지난 2020년 10월 원종(original strain) 코로나바이러스에 감염됐다가 회복된 이스라엘 환자의 B세포(백혈구에 속하는 림프구의 일종으로 항체를 생산)에서 총 9종의 항체를 분리했다.

연구진은 이 항체들이 델타, 오미크론 등 지금까지 보고된 모든 종류의 코로나19 변이에 어떻게 반응하는지 실험했다.

그 결과 2종류의 항체가 모든 종류의 변이를 효과적으로 중화하는 것으로 확인했다. 연구진은 이들 항체를 각각 ‘TAU-1109’, ‘TAU-2310’로 명명했다. TAU는 텔아비브대학(Tel Aviv University)의 약자다.

연구진은 이 2종류의 항체를 복제해 미 UC샌디에이고와 갈릴리 바일란대학 의학부에 보내 교차 실험도 진행했다.

연구를 진행한 프로인트 박사는 “변이 바이러스의 감염력이 향상되는 것은 (인체 침투 경로인) ACE2 수용체와 결합하는 스파이크 단백질의 아미노산 배열이 바뀌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감염력이 올라가고 예방접종을 통해 생기는 자연 항체도 회피하게 된다”고 설명했다.

그는 이어 “하지만 2종류의 항체는 ACE2 수용체 결합 부위가 아닌 변이가 많지 않은 스파이크 단백질의 다른 부분에 결합한다. 이 때문에 다양한 변이를 중화하는 데 효과적”이라고 전했다.

프로인트 박사는 “TAU-1109 항체의 오미크론 변이 중화율은 92%, 델타 변이는 90%로 나타났다”며 “TAU-2310 항체의 오미크론 변이 중화율은 84%, 델타 변이 중화율은 97%에 달했다”고 말했다.

프로인트 박사는 “코로나19 감염 후 중증으로 악화할 수 있지만, 감염 직후 항체를 제공하면 바이러스 확산을 멈출 수 있다”며 “따라서 효능이 뛰어난 항체로 치료를 한다면 새로운 변이가 출현할 때마다 추가접종을 할 필요가 없어질 수도 있다”고 의미를 부여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지난 5일 과학 저널 ‘커뮤니케이션스 바이올로지’(Communications Biology)에 게재됐다.

백재연 기자 energ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