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즈 트러스 총리가 집권한지 한달여만에 영국경제 곳곳에서 문제가 터지기 시작했다. 경기 침체에 금리와 물가의 동반 급등으로 영국은 브렉시트(Brexit·영국의 유럽연합 탈퇴)이후 2년여만에 모든 경제 지표에 빨간불이 켜진 상황이다.
경제전문 블룸버그통신은 9일(현지시간) 전 세계 국내총생산(GDP) 순위 5위였던 영국이 과거 식민지였던 인도에 밀려나 6위로 추락했다고 보도했다. 영국 파운드화는 영국정부의 헛발질에 계속 곤두박질쳐 지난달 26일에는 미국 달러 대비 환율이 1.03달러로 급락해 사상 최저치를 경신하기도 했다.
이처럼 영국이 초유의 경제위기에 내몰린 것은 트러스 총리가 점화했다가 시장의 거센 반발로 철회한 감세정책 논란 때문이다. 지난달 23일 50년만의 최대 감세정책을 발표했지만, 재원 마련이 미비해 세계 금융시장에 혼돈만 야기했다. 나랏빚을 늘리겠다는 것과 다름없는 발표를 하자, 채권시장에서 영국 국채금리가 급등(채권가격 급락)했고, 다시 주식·외환 등의 금융시장 전반에 연쇄반응을 일으켰다. 이에 국제통화기금(IMF)이 직접 나서 감세정책 철회를 촉구하기도 했다.
영국의 물가 상승률은 현재 10%로 G7 중 가장 높고, 3분기 성장률도 0.2%로 간신히 마이너스 성장을 피했다. 가장 큰 문제는 경제의 성장동력은 약한데 물가만 가파르게 오르는 것이다. 물가를 잡겠다고 금리를 올렸더니 소비가 위축되는 악순환이 발생하고 있다. 지난해 12월부터 기준금리를 올려온 영란은행(BOE)은 다음달엔 3.25%까지 올릴 개연성이 높다.
물가와 에너지난에 영국 기업들은 속속 문을 닫는다. 미국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지난 5일 영국 기업들이 줄줄이 폐업해 상반기에만 25만개가 넘는 기업이 문을 닫았다고 전했다.
임금이 물가를 쫓아가지 못하자 공공부문 파업 움직임도 줄을 잇는다. 영국 15개 철도회사와 철도시설공단은 올해 들어서만 11번째 파업을 했다.
한명오 기자 myungou@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