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타르가 심각한 인력난 때문에 월드컵 개막을 앞두고 우려가 커지고 있다.
로이터 통신은 2022 월드컵 개최국 카타르가 보안 강화를 위해 외국군을 포함해서 5만명 이상을 훈련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보도했다.
카타르는 오는 20일(일)부터 다음달(12월) 18일까지 이슬람 국가 사상 최초로 월드컵을 개최한다.
하지만 카타르의 인력이 크게 부족해서 외국 군대와 경찰 힘을 빌리고 있는 모습이다.
자브르 함무드 자브르 알 누아이미 카타르 외교부 대변인은 전문적인 기술을 가진 우호국의 군대가 참가하게 된다면 월드컵 보안에 실질적인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자브르 알 누아이미 카타르 외교부 대변인은 우호국 군대가 카타르 지도하에 일하게 된다고 말했다.
카타르 정부는 앞서서 파키스탄 군대로부터 보안 업무를 지원받는 협약을 체결했다.
또 튀르키예로부터 경찰 인력 3,000명을 파견받기로 했다.
이처럼 다른 나라 군대와 경찰 파견 계약을 체결한 것은 카타르의 인구가 대단히 적어 월드컵 관리가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실제로 월드컵을 앞둔 카타르의 인력난은 계속되고 있다.
현재 카타르의 총인구는 약 280만여명인데 그 중에서 카타르 태생 국민은 38만여명에 불과하다.
나머지는 인도·파키스탄·방글라데시 등 주로 동남아에서 온 노동자들이어서 최소 120만여명이 몰려올 것으로 예상되는 월드컵 방문객들을 관리하는 것이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이에 따라 카타르 당국은 월드컵 기간 중에 활용하려고 보안과 질서 유지를 위해 수백여명 시민들을 군인으로 징집해왔다.
이들은 입장 대기 줄 관리, 술 마약 무기 반입 감시 등의 업무를 담당한다.
카타르의 월드컵 관련 징집자들 중 상당수는 지난 9월 수도 도하 북쪽에 있는 훈련 캠프에서 필요한 각종 훈련을 받은 것으로 전해졌다.
옷 주머니와 안감, 여성의 올림머리, 복부 등 신체 곳곳에 숨길 수 있는 경기장 반입금지 물품을 찾아낼 수있는 방법 등이 훈련에 포함된 것으로 알려졌다.
카타르 당국은 이처럼 시민을 군인으로 징집하는 것을 국가적인 이벤트의 성공을 위한 ‘애국 의무’라고 주장하고 있지만, 징집 대상자 대부분은 거부할 경우 당국의 처벌이 두려워 어쩔 수 없이 소집에 응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와 더불어 카타르는 월드컵 관광객 숙박 시설 확보를 위해 월드컵 개최지 인근에서 머물던 노동자 수천명을 강제로 쫓아냈다.
카타르 정부는 지난달(10월) 수도 도하 인근 아파트에 거주하던 외국인 노동자 1,200여명을 사전 통보 없이 강제 퇴거시켰다.
이같은 카타르 정부의 강제 퇴거 조치에 대해서 중동 인권단체 ‘이주자 권리 프로젝트’ 바니 사라스와티 국장은 카타르가 값싼 노동력을 이용했다는 것을 숨긴 채 호화롭고 부유한 겉모습만 보이려 하는 것이라고 비판했다.
카타르는 이밖에도 월드컵을 준비하는 과정에서 해외 이주 노동자들의 노동을 착취했다는 논란에도 휩싸였다.
올해(2022년) 초 1월 영국 언론 데일리 메일은 카타르 월드컵 경기장 건설 공사에 투입된 이주 노동자 6,500명 이상이 열악한 작업 환경에서 일하다가 목숨을 잃었다고 밝혔다.
데일리 메일은 월드컵이 피로 얼룩졌다고 비판하면서 이런 지옥같은 상황이 공사 현장에서 반복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카타르 정부와 국제축구연맹(FIFA)이 침묵으로 일관하고 있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