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크라이나 민간인 희생자들의 모습을 담은 끔찍한 영상이 5일(현지시간)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안보리)에서 상영되자 회의장이 술렁인 가운데 중국은 러시아를 감싸는 모습을 보였다.
장준 주유엔 중국대사는 이날 미국 뉴욕 유엔본부에서 열린 안보리 회의에서 “성급하게 비난하는 것을 자제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장 대사는 부차 등 우크라이나 각지에서 희생된 민간인들의 모습이 담긴 90초 분량의 연설을 본 뒤 이같이 말했다.
앞서 안보리에서 화상 연설을 한 뒤 이 영상을 소개한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은 러시아군의 행위를 이슬람 극단주의 테러단체 이슬람국가(IS)에 비유하면서 “그들(민간인)은 수류탄 폭발로 자신의 아파트와 집에서 살해당했고, 러시아군은 오직 재미로 자동차 안에 있던 민간인들을 탱크로 깔아뭉갰다”고 전했다.
장 대사는 “부차에서 발생한 민간인 희생의 영상과 기사는 아주 끔찍하다”면서도 “사건의 전후 상황과 정확한 사건의 원인에 대한 검증부터 이뤄져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결론이 나기 전까지는 사실에 근거한 비판만 가능하다”며 러시아에 대한 비난을 자제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장 대사는 러시아에 대한 국제사회의 제재는 사태를 더욱 복잡하게 만들 뿐이라며 미국과 유럽이 러시아와 대화에 나서야 한다고 앞서 주장했던 내용을 되풀이했다.
이날 젤렌스키 대통령은 “(러시아군이 민간인의) 팔다리를 자르고 목을 베었다”며 “여성들은 자녀의 눈앞에서 성폭행당한 뒤 살해됐다. 이러한 짓은 다에시(IS의 아랍어 약자)와 같은 다른 테러리스트들과 전혀 다르지 않다”고 울분을 토했다.
그는 “우리는 안보리 거부권을 죽음의 권리로 바꿔 사용하는 나라를 상대하고 있다”며 “그들이 자신의 침략에 대한 (안보리) 결정을 막을 수 없도록 상임이사국에서 퇴출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 “여러분은 유엔의 문을 닫을 준비가 됐느냐. 국제법의 시대는 끝났느냐”고 물으며 “그렇지 않다면 당장 행동해야 한다. 책임 추궁이 불가피하다”고 국제사회의 각성을 촉구했다.
구자창 기자 critic@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