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질랜드가 ‘담배와의 전쟁’을 선포하며 뉴질랜드에서 2009년 이후 출생한 자는 앞으로 영원히 담배를 구입하지 못하도록 했다.
BBC와 가디언 등은 13일(현지시간) 뉴질랜드 의회가 2009년 1월 1일 이후 출생자에게 담배 판매를 금지하는 새로운 금연법을 통과시켰다고 보도했다. 해당 법안은 오는 2023년부터 시행될 예정이며, 이를 어길 경우 15만 뉴질랜드달러(약 1억2500만원)의 벌금형에 처해진다.
법에 따르면 현재 만 13세(공표일 기준 만 14세) 이하의 청소년들은 뉴질랜드 안에서 평생 담배를 구매할 수 없다. 법 시행 50년 뒤인 2073년에는 만 64세 이하 모든 뉴질랜드 국민이 담배를 합법적으로 구매할 수 없게 된다.
아예샤 베럴(Ayesha Verrall) 뉴질랜드 보건부 차관은 “사용자 절반을 죽이는 제품을 허락할 이유가 없다”며 “(법이 통과되면) 수천명의 사람들이 더 오래 건강하게 살 것이고, 흡연으로 발생하는 질병에 대처할 필요가 없어지면서 보건의료 분야에서 50억 뉴질랜드달러(약 42조원)를 아끼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일명 ‘금연 환경 법안’(Smokefree Environments Bill)에 따르면 2025년까지 흡연 비율을 5% 이하로 낮추고 흡연 연령을 높이는 등 ‘금연 국가’를 만들게 된다. 또 담배를 판매할 수 있는 소매점의 개수를 6000개에서 600개로 줄이고, 담배의 니코틴 수치를 줄여 중독성을 줄이는 것도 목표로 하고 있다.
현재 뉴질랜드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38개국 중 가장 낮은 성인 흡연율을 기록하고 있다. OECD 회원국의 성인 흡연율 평균치는 16.5%이지만 지난해 뉴질랜드의 성인 흡연율은 8%였다.
외신들은 그럼에도 뉴질랜드 정부가 이런 법안을 만든 배경에는 뉴질랜드 원주민들의 흡연율 문제가 있다고 보도했다. 원주민 마오리족과 파시피카족의 흡연율은 각각 22.3%와 16.4%로 높은 비율에 속한다.
한편 이 법안은 젊은 세대들 사이에서 담배보다 훨씬 인기 있는 전자담배는 금지하지 않는다. 일일 전자담배 사용자의 증가가 일일 흡연자의 감소보다 더 큰 상황이다. 외신은 뉴질랜드 성인 8.3%가 현재 매일 전자담배를 피우고 있으며, 이는 지난해 6.2%에서 증가한 수치라고 전했다.
또한 뉴질랜드 의회에서 10석을 차지하고 있는 행동당(ACT)을 포함해 해당 법안에 비판적인 이들은 이 정책이 담배 암시장을 부추기고 소규모 상점을 죽일 수 있다고 우려를 표했다.
이지민 인턴기자 onlinenews1@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