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lam News

미 은행, 제재 따른 러 국채가격 폭락 이용해 떼돈

러시아에 대한 서방의 강력한 제재로 러시아 정부와 기업들이 발행한 채권 매물이 쏟아지면서 미국 은행들이 막대한 이익을 보고 있다고 CNN 비즈니스가 보도했다.
채권 거래 플랫폼 마켓액세스의 데이터에 따르면 러시아가 우크라이나를 침공한 2월 24일부터 지난 7일까지 러시아 국채 거래 규모는 70억 달러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35% 늘어났다.

미국을 비롯한 서방의 러시아 제재가 이어지자 기관 투자자들이 이를 빠르게 매각하고 있어서다. 

투자자들이 시장에 던지는 러시아 채권 물량이 워낙 많다 보니 채권 가격도 매우 빠르게 떨어지고 있다.

워낙 빠르게 채권 가격이 떨어지다 보니 채무불이행이 발생하면 이를 물어주는 일종의 보험 성격의 신용부도스와프(CDS) 가격은 이보다 느리게 올라가고 있다. 

투자자들은 이런 허점을 노리고 대규모 투자에 나서 수익을 내는 것이다.

실제로 지난 5일 러시아 채권에 대한 CDS 프리미엄은 4,300bp(100bp=1%)로 전날보다 2800bp 올랐다. 

이는 원금이 1천만 달러인 러시아 채권의 보험료가 430만 달러라는 의미다.

같은 날 채권 가격은 급격히 내려가 2028년 만기 상품의 경우 달러 당 0.34 달러에 거래됐다.

원금이 1천만 달러인 채권이 340만 달러에 거래됐다는 의미다.

투자자 입장에서는 원금 1천만 달러인 채권을 340만 달러에 사면서 헤지(hedge·위험 회피)를 위해 CDS를 함께 사도 770만 달러(340만 달러+430만 달러)에 불과해 230만 달러의 차익을 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