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lam News

美, 대만 턱 밑 필리핀 북부에 군기지 사용권 확보 예정


미국이 필리핀 본섬 루손섬 지역 등에서 군사기지 사용 권한을 추가로 확보할 것으로 나타났다. 인도·태평양 지역 내에서 군사 태세를 강화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이다. 해당 지역은 대만 인근 바시 해협과 닿아 있어 중국의 군사적 위협 대응력이 높아진다.

워싱턴포스트(WP)는 30일(현지시간) “미군은 일본 주둔 미군 태세의 대대적 개편에 이어 필리핀 주요 기지에 대한 접근권한 확대를 확보할 준비가 됐다”며 “이르면 이번 주 로이스 오스틴 국방장관이 필리핀 방문 기간 발표가 있을 예정”이라고 보도했다.

WP는 필리핀이 본섬인 루손섬 북부에 있는 두 곳의 군 기지에 대한 접근권한을 미국에 제공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이밖에 다른 기지에 대한 사용 합의도 사실상 이뤄졌지만, 양국 국방부 장관이 만나서 공식화할 것이라고 필리핀 국방 당국자가 WP에 밝혔다.

미 당국자에 따르면 제이크 설리번 국가안보보좌관은 이달 초 에두아르도 아노 필리핀 내무장관과 인도·태평양의 동맹과 협력을 강화하기 위한 논의를 진행하며 이를 논의했다.

루손섬 군사기지는 미군이 대만이나 남중국해상에서 중국과의 충돌이 발생할 때 작전을 수행할 수 있는 전략적 요충지가 될 수 있을 것으로 군사전문가들은 분석했다. 중국 해군은 최근 대만 본섬과 필리핀 루손섬 사이의 바시 해협을 작전구역으로 설정해 군사적 긴장을 높여 왔다.

마이클 그린 시드니대 중국연구센터 소장은 “중국이 대만이나 일본을 공격할 때 필리핀이 자국군도 통과를 금지하는 데 도움이 된다”고 말했다.

미국은 1951년 필리핀과 상호방위조약을 체결한 뒤 대규모 병력을 주둔했다. 그러나 필리핀은 91년 주권 침해를 이유로 모든 기지를 반환토록 했다. 현재 미국은 2014년 체결한 국방협력확대협정(EDCA)에 따라 4곳의 공군기지와 1곳의 육군기지에 병력을 순환 배치할 수 있다. 대만과 가장 가까운 루손섬 북부에는 사용할 수 있는 기지가 없었다.

필리핀의 한 관리는 “페르디난드 마르코스 대통령은 지역의 역학 관계를 인식하고 있고, 필리핀이 실제 (행동에) 나서야 한다는 것을 알고 있다”며 “대통령은 대만 해협과 필리핀해를 면밀히 주시하고 있다”고 말했다.

미국은 최근 중국의 군사적 위협을 견제하기 위해 일본 오키나와현 해병대를 2025년까지 개편해 배치하기로 하는 등 역내 동맹과 안보 협력을 강화하고 있다.

싱크탱크 전략국제문제연구소(CSIS) 그레고리 폴링 동남아시아 프로그램국장은 “(이번 합의는) 대만이나 남중국해의 사태에 대비한다는 의미에서 매우 중요하다”며 “필리핀이 미국과 동맹을 현대화하는 데 전념하고 있고, 현대화된 동맹에서는 필리핀에도 의무가 있음을 이해한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평가했다.

워싱턴=전웅빈 특파원 imu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