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lam News

전쟁 와중에도 성황…우크라이나 스키리조트


우크라이나 서부 카르파티아산맥에 위치한 부코벨 스키리조트는 러시아의 침공이 1년째 이어지는 가운데도 여전히 성업중이다. 가족 단위 스키매니아들이 붐비고 리조트 직원들은 식당과 숙박시설, 스키 관련 시설을 점검하며 겉으로는 평범한 일상을 보내고 있는 것이다.

뉴욕타임스(NYT)는 5일(현지시간) 우크라이나 전역이 러시아군의 대규모 공격을 앞두고 팽팽하게 긴장된 가운데 성업중인 이 스키리조트에 대한 르포 기사를 게재했다.

스키 슬로프를 거슬러 올라가는 리프트는 러시아의 인프라 시설 공격으로 불안정한 전력사정 때문에 자체 발전시설 등을 가동해 만든 전기가 공급된다.

야나 체르네츠카(30·여)씨는 신문과의 인터뷰에서 “전쟁 속에서도 스키를 타는 게 (국가에 대한) 거의 저항에 가까운 일”이라면서도 “평범한 삶을 되찾기 위한 한 방편”이라고 말했다. 어린 딸과 남편과 함께 이곳을 찾은 그녀는 우크라이나 최대 항구도시인 오데사에서 이곳으로 휴가를 왔다. 체르네츠카씨는 “미사일이 내 아이의 평범한 유년기를 앗아가게 내버려둘 순 없었다”고 했다.

우크라이나전 참전용사인 타라스 비후스(29)씨는 “마치 낙원처럼 이곳에서 산으로 올라가면 구름이 바로 눈앞에서 흘러간다”면서도 5개월의 참전 경험을 억누르지 못했다.

원래 부코벨 스키리조트에서 스노보드 강사로 생업에 종사하던 비후스씨는 전쟁이 터지자 자원병으로 입대했다. 그러나 몇달 뒤 스노보드를 타던 시절 당한 부상이 크게 재발하면서 전역했다. 이후 힘든 재활 치료를 거쳐 이곳 스노보드 강사 일을 되찾게 된 것이다.

부코벨을 찾은 다른 우크라이나인들도 복잡한 심경을 감추지 않았다. 오데사에서 가족과 함께 우크라이나 정교 명절을 보내기 위해 온 카테리나 볼로시나(31)씨는 “감정을 표현하기가 어렵다”고 했다.

전쟁 전인 2년 전 이곳을 방문했을 때는 분위기가 딴판이라는 볼로시나씨는 “모두가 행복하고 사람들은 와인을 마셨다면, 지금은 여러 사람이 피란민으로 나라를 떠났다“고 했다.

스키용품점 주인인 아르템 미틴(35)씨는 이번 전쟁이 벌어진 뒤 동유럽 사람들이나 대규모 단체스키관광객들은 더 이상 찾아볼 수 없게 됐다고 전했다. 미틴씨는 “이곳을 찾는 우크라이나인들은 단지 스키 때문이 아니라 전쟁을 잊기 위해 온다”고 덧붙였다.

쌍둥이 두 아들과 스노보드를 타던 군인 부부는 짧은 휴가동안 긴장을 덜기 위해 왔다고 했다.

카르파티아 산악지대는 전쟁 초기 많은 우크라인이 전선지역에서 피란을 온 안전지대 중 한 곳이다.

전국적으로 순환단전이 실시된 가운데 이 스키리조트는 강력한 제설용 발전기 등을 이용해 스키리조트는 물론 주변 마을까지 전기를 공급하고 있다.

부코벨의 한 호텔에는 수십 명의 젊은 창업가와 IT 전문가들이 공용 일터가 된 레스토랑에 매일 모여 일을 하고 있다. 식당은 발전기로 전기가 공급되고 단전에도 백업용 위성 인터넷이 연결되기 때문에 온라인 작업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NYT는 한 IT전문가의 말을 인용해 “이곳이 전쟁으로부터 동떨어진 안정된 섬같이 느껴지지만, 모든 사람들이 각자의 삶에서 최선을 다해 일하고 있다”고 전했다.

신창호 선임기자 procol@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