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lam News

“규모 7.0 넘는 여진 또 닥칠수도”…공포스러운 美전망


튀르키예(터키)·시리아 강진으로 인한 사망자가 계속 늘고 있는 가운데, 지난 6일(현지시간) 발생한 7.8 규모의 본진에 버금가는 강도의 여진이 또 덮쳐올 수 있다는 분석이 나와 우려가 커진다.

미국 지질조사국(USGS)은 11일(현지시간) 펴낸 새 보고서에서 튀르키예 지진 상황과 관련한 향후 전망을 3가지 시나리오로 나눠 제시했다.

첫 번째는 앞으로 규모 7.0 이상의 여진이 더는 발생하지 않고, 규모 5.0∼6.0대의 중간 정도 지진이 이어지면서 여진 빈도가 줄어드는 경우다. 이 시나리오의 발생 확률은 약 90%로 가장 높은 것으로 평가됐다.

두 번째는 규모 7.8의 본진보다는 약하지만 규모 7.0을 넘기는 여진이 추가로 발생하는 상황이다. USGS는 “가능성은 10% 정도로 낮은 시나리오”라고 전제하면서도 “이렇게 되면 본진 피해지역에 또다시 영향을 미치면서 추가 여진 빈도를 활성화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세 번째 최악의 시나리오는 규모 7.8과 같거나 더 강한 지진이 발생하는 경우다. 확률은 1% 안팎으로 사실상 매우 낮지만, 이 경우 현재 피해 지역은 물론 인접 지역에까지 추가 피해를 발생시킬 수 있다.


USGS는 이날 보고서에서 튀르키예·시리아를 합친 지진 사망자가 10만명을 넘길 확률을 26%로 2% 포인트 올려잡았다. 지진 직후 0%였던 것에서 닷새 사이 10%, 14%, 24%, 26%로 잇따라 상향하며 전망이 점차 비관적으로 바뀌고 있다.

튀르키예의 경제적 손실 추정 규모도 GDP의 최대 6%에서 10%로 상향했다. USGS는 손실이 100억∼1000억 달러(약 12조5000억∼125조원)일 확률을 35%로 유지했지만, 1000억 달러를 넘어설 가능성을 33%에서 34%로 올려잡았다.

USGS는 “큰 여진은 이미 약해졌으나 부실하게 건축된 구조물에서 추가적인 피해를 일으킬 수 있다”며 “여진은 빈도가 낮아지더라도 수개월 이상 지속될 수 있다”고 우려했다.

권남영 기자 kwonn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