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lam News

파우치 "미국서 코로나19 상대로 집단면역 달성 어려울지도"

코로나19에 대한 집단면역에 도달하지 못할 수도 있다고 앤서니 파우치 국립알레르기·전염병연구소NIAID 소장이 전망했다.
파우치 소장은 CNN 방송과의 인터뷰에서 고전적인 집단면역의 개념이 코로나19에는 적용되지 않을지도 모른다고 말했다고 이 방송이 오늘(15일) 보도했다.

이는 상당한 기간 사람들 사이에서 코로나19 바이러스가 사라지지 않을 것이라는 뜻이라고 덧붙였다.

집단면역은 특정 인구 집단 내에 일정 비율 이상의 사람이 어떤 전염병에 대한 면역력을 확보해 이 전염병의 확산·유행을 억제할 수 있는 상태를 말한다.

바이러스가 감염시킬 사람을 찾지 못해 퍼지지 못하고 사그라든다는 것이다.

이렇게 되면 기저질환이 있거나 나이가 너무 어려 백신을 맞을 수 없거나, 면역 체계가 손상돼 백신을 맞아도 면역이 잘 생기지 않는 사람도 이 전염병으로부터 보호된다.

풍진, 홍역 등은 이런 집단면역을 통해 질환을 물리친 이상적인 사례다.

연방 질병통제예방센터CDC에 따르면 홍역 역시 공기를 통해 퍼지며 전염성이 대단히 강해 한 사람이 이에 감염되면 그 주변 열 명 중 아홉 명이 걸린다.

어떤 보건 전문가들은 오미크론 변이의 전염성이 홍역만큼 강하다고 추정하기도 한다.

홍역을 퇴치한 것은 3가지 요건이 맞아떨어졌기 때문이다.

극도로 효과가 뛰어난 백신과 시간이 흘러도 큰 폭의 변이를 일으키지 않는 홍역 바이러스, 어린 시절에 이뤄지는 대규모 백신 접종이 그것이다.

그러나 코로나19에는 이런 규칙이 적용되지 않는다.

파우치 소장은 첫 번째 악재로 코로나19 바이러스는 변화의 폭이 큰 변이가 발생하는 점을 꼽았다. 

최근 2년 새 이미 알파, 베타, 델타, 오미크론에 이어 최근 우세종이 된 오미크론의 하위 변이 BA.2까지 5종의 주요 변이가 지구촌을 휩쓸었다. 

파우치 소장은 두 번째 악재는 백신의 안전성과 효능에 대한 폭넓은 수용성이 부재하다는 것이라고 말했다. 

파우치 소장은 또 홍역과 달리 코로나19는 백신을 통한 면역이든, 자연면역이든 평생 지속되지 않는다는 점도 변수라고 지적했다. 

이는 반복적으로 백신을 맞거나, 코로나19에 감염될 수밖에 없다는 것을 뜻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