드미트로 포노마렌코 주한 우크라이나 대사는 “한국 정부가 우크라이나에 살상 무기를 공급할 수 있는 해결책을 찾길 희망한다”고 밝혔다.
포노마렌코 대사는 27일 서울 동대문구 한국국방연구원(KIDA)에서 열린 ‘우크라이나 전쟁 1주년 특별세미나’에 참석해 “대한민국 국방부·방위사업청 등과 직접 협의할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해준다면 매우 감사하겠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각종 재래식 무기에 있어서 러시아의 능력과 유사한 수준이 된다면, 우크라이나의 승리로 전쟁이 더 빨리 끝날 것”이라며 “우리는 반격 작전을 계속할 수 있도록 중단없이 적시에 중장갑차, 포병, 방공 체계, NATO(북대서양조약기구) 표준의 탄약 및 장비 지원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포노마렌코 대사는 우크라이나군이 러시아의 침공으로 점령당한 영토의 절반을 수복했다며 “이 과정은 국제적으로 인정된 국경 내에서 우크라이나의 ‘영토적 완전성’이 회복될 때까지 지속될 것”이라고 말했다. 최근 중국 등의 제안으로 제기된 ‘휴전설’을 일축한 것이다.
우리 군이 우크라이나에 비살상용 무기를 지원한 데 대한 사의도 표했다.
그는 “비살상용 군사장비 지원 등에 대해 한국 정부와 대한민국 국방부에 깊은 감사를 드린다”며 “향후에도 한국 정부의 지원이 지속되고 확대되길 기대한다”고 밝혔다.
또 지난 1년 동안 한국 정부가 의약품, 의료장비, 컴퓨터, 구급차, 픽업트럭, 보호장비, 발전기, 굴착기 등을 포함해 인도적 지원을 총 1억 달러 규모로 제공했다고 발표했다. 이와 더해 한국 정부가 올해는 우크라이나에 1억3000만달러를 지원한다고 전했다.
러시아의 침공으로 1년째 전쟁을 치르고 있는 우크라이나는 한국 측에 살상 무기 지원을 지속적으로 요청해왔다.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은 지난 24일(현지시간) 기자회견에서 “한국산 무기가 (우크라이나에) 지원된다면 긍정적일 것”이라며 한국 지도부를 자국에 초청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에 대해 우리 국방부는 살상 무기 지원에 있어 정부 차원의 검토가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전하규 국방부 대변인은 27일 정례브리핑에서 우크라이나에 대한 무기 지원 협의 경과와 관련된 질문에 “우크라이나에 살상 무기를 지원하지 않는다는 정부 방침에는 변함이 없다”며 “한국은 우크라이나의 재건을 포함해서 인도적 차원의 지원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다”고 답했다.
이지민 인턴기자 onlinenews1@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