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의 대만 침공을 막지 못한다면 미국의 방위 약속에 대한 동맹국의 신뢰가 크게 훼손될 것이라는 전문가 분석이 나왔다.
이 경우 동북아에서는 북한의 대남도발이 더욱 노골화하고, 한국과 일본, 호주 등에선 독자 핵무장을 주장하는 목소리가 커질 것으로 전망됐다.
어제(26일) 영국 일간 더타임스 등에 따르면 미 외교정책 싱크탱크 '퍼시픽포럼'은 최근 발간한 보고서에서
중국의 대만 강제병합 시나리오와 함께 미국과 동맹국에 미칠 영향을 분석했다.
저자 중 한 명인 미국 싱크탱크 '프로젝트 2049 연구소'의 이언 이스턴 연구원은 보고서에서 미국 등이 도울 사이도 없이 대만이 속수무책 함락되거나, 전면전을 벌이고도 병합을 막지 못하는 두 가지 '악몽의 시나리오'를 제시했다.
첫번째는 국제적으로 고립된 대만 정부가 중국과 평화회담에 나서지만 중국 인민해방군이 공세를 멈추지 않으면서 전면전을 벌이지도 못한 채 대만 전역이 점령된다는 시나리오다.
중국 측은 우선 무장 드론을 이용해 대만 주변 섬들의 레이더와 정보수집 시설을 파괴하고 무인잠수정으로 일본, 괌과 연결된 해저 통신선을 절단한 뒤 대만에 미사일과 폭탄을 쏟아부어 정부를 붕괴시킬 것으로 예상됐다.
두번째 시나리오는 미국이 북대서양조약기구(NATO), 일본, 한국, 호주 등과 연합을 구축하려는 노력 끝에 중국과 치열한 전투를 벌이지만 큰 피해를 보고 중국의 대만병합을 막지도 못한다는 것이다.
최악의 경우 미국과 동맹국 전투기 조종사 수백명이 목숨을 잃고 미 태평양 함대가 거의 궤멸하는 한편 대만에 상륙한 미 해병대원도 50%의 사상률을 기록한 뒤 모두 사로잡힐 수 있다고 이스턴 연구원은 말했다.
대만을 점령하면 중국은 대만이 보유한 미국제 첨단무기와 세계 최고 수준의 반도체 생산시설을 손에 넣게 된다.
또 폭격기와 미사일 부대 등을 대만에 주둔시켜 일본과 괌 주둔 미군을 겨냥할 수 있고, 남중국해와 태평양을 잇는 주요 항로를 차단함으로써 동남아권에서의 군사적 우세를 더욱 확고히 할 수도 있다고 보고서는 경고했다.
일본과 한국, 호주 등이 핵무장을 고려하는 등 주변 국가에도 연쇄적 파급효과가 미칠 것으로 분석됐다.
이스턴 연구원은 핵무기 군비경쟁이 시작되고 통제불능으로 치닫기 쉽다며제3차 세계대전 발발 가능성이 그 어느 때보다 높아질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