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니 블링컨 미국 국무부 장관은 중국이 러시아에 무기를 지원할 경우 제재 조치에 대해 동맹과 논의하고 있다고 밝혔다. 대러 제재와 같은 방식의 공동 제재를 모색하고 있다는 것이다.
블링컨 장관은 22일(현지시간) 상원 세출위원회에서 민주당 크리스 밴 홀런 의원으로부터 “중국에 대한 제재가 효과를 거두려면 유럽과 한국, 일본, 호주 등 아시아의 민주주의 파트너가 동참하도록 해야 한다”며 “중국이 무기를 지원하면 파트너들과 함께 제재할 계획이 있느냐”는 질문을 받았다.
블링컨 장관은 이에 “무기 지원이 미국과 다른 국가들 입장에서 얼마나 심각한 문제가 될지를 중국 정부에 분명히 해 왔다”고 말했다. 이어 “중국이 러시아에 무기 지원을 고려하고 있다는 정보를 동맹·파트너와 공유하자 여러 국가가 행동에 나섰다”며 “이들 국가 모두 이 문제와 관련해 중국 고위 지도부를 직접 접촉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우리는 중국이 무기를 지원할 경우 우리가 어떻게 할지에 대해 이들 국가와 적극적으로 대화하고 있다”고 말했다.
블링컨 장관은 “중국은 이를 매우 주의 깊게 보고 있다. 세계가 (러시아의) 침략에 맞서기 위해 어떻게 단합하는지, 아니면 그렇지 않은지에 대한 교훈을 얻을 것”이라고 말했다. 또 “우크라이나를 침공한 러시아가 처벌을 받지 않는 것은 전 세계에 판도라의 상자를 열 것”이라며 “침략자들은 도처에서 이를 보고 ‘우리도 할 수 있다’고 말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앞서 로이터통신은 지난 1일 미국 정부가 중국이 러시아에 무기를 제공할 경우 중국을 제재한다는 방침을 세우고 동맹국에 지지를 요청하기 시작했다고 보도했다. 이에 한국 외교부 당국자는 “관련 동향을 주시하고 있다. 한·미 간 주요 사안에 대해 수시로 소통하고 있다”고 밝혔다.
블링컨 장관은 상원 외교위원회에서는 중·러 관계를 정략결혼이라고 부르며 “여러 면에서 러시아는 이제 중·러 관계에서 주니어 파트너”라고 말했다. 또 미국도 이에 맞서 유럽과 아시아의 동맹 및 파트너와 협력을 재활성하고 있다며 외국인 투자 심사, 수출통제, 해외 투자 등 모든 분야에서 공조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워싱턴=전웅빈 특파원 imu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