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lam News

소득 반반 부부 늘었지만…집안일은 여전히 여자 몫

미국에 서 여성의 가정 경제 기여도가 커졌는데도 '집안일'은 여전히 여성에게 쏠려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악시오스는 어제(13일) 여론조사 기관 퓨리서치센터의 이러한 조사 결과를 전하면서 "결혼이 집안일 빼고 평등해지고 있다"고 총평했다.

퓨리서치센터가 25∼64세 이성간 부부에 대한 정부 자료를 분석한 결과, 남편과 아내가 비슷하게 버는 부부의 비율은 1972년 11%에서 2022년 29%로 증가했다.

남편 소득이 더 많은 부부는 1972년 85%에 달했지만 지난해 55%로 줄었고, 아내 소득이 더 많은 부부는 1972년 5%에 불과했지만 지난해 16%로 증가했다.

퓨리서치센터는 남편과 아내의 소득이 비슷한 부부를 '평등한 결혼' (egalitarian marriages)으로 정의했다.

그러나 평등한 결혼의 실상을 더 들여다보면 '대가를 받지 않는 일'에 대해서는 여전히 성별 불균형이 나타나고 있다고 지적했다. 돌봄이나 가사에 여성이 남성보다 더 많은 시간을 쓰고 있기 때문이다.

평등한 결혼에서 '돈 받는 업무'에 들이는 시간은 남편 주 평균 44.2시간, 아내 41.1시간이다.

여가 활동에 쓰는 시간은 남편(25.2시간)이 아내(21.6시간)보다 주 평균 3시간 반 이상 많다.

반면 돌봄에는 아내가 주 평균 6.9시간을 들이는 반면 남성은 5.1시간을 투자했다.

아내의 가사 시간은 주 평균 4.6시간으로, 남편(1.9시간)보다 2배 이상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를 진행한 퓨리서치센터의 킴 파커는 미국 공영방송 NPR에 "여전히 불균형하다. 확실히 평등하지 않다"고 말했다.

남편이 아내보다 돌봄에 더 많은 시간을 쓰는 부부는 아내가 생계를 책임지는 유형뿐으로, 전체의 6%에 불과하다.

아내가 소득의 60% 이상을 버는 부부도 남편의 가사·돌봄 참여가 아내보다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의 시선'이 집안일에 대한 성별 불평등에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이 있다.

퓨리서치센터가 5천152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별도 조사에서 57%는 사회가 남성이 가정보다 직장에서 하는 일을 더 가치 있게 평가한다고 답했다. 사회가 남성의 가정일을 더 높이 평가한다는 답은 7%에 불과했다.

반면 여성이 가정보다 직장에서 하는 일을 더 가치 있게 평가받는다는 대답은 20%에 그쳤다. 31%는 사회가 여성의 가정 기여도에 더 가치를 둔다고 밝혔다.

유스위치는 스크린 타임 추적 앱을 활용하는 등 다양한 방법으로 스마트폰 활용 시간을 줄일 필요가 있다고 권고했다.

그래도 자제가 안 되면 스마트폰을 상자에 넣고 잠가버리는 것도 한 방법이라고 유스위치는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