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멘트]
CA주에서 75~79세의 고령층이 되면집을 처분하기 시작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는 70대가 넘어 신체와 정신적으로 힘들어지면서돌봄 시설로 들어가게돼주택 소유 비율이 떨어진다는 분석입니다.
김나연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국내에서 세대별로 주택 소유 비율이 70대에 약 80% 정점을 찍은 뒤 점차 하락하는 것으로 분석됐습니다.
이런 가운데 CA주에선 75~79세가 되면주택을 처분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어제(17일) 워싱턴포스트(WP)는정부의 통계 데이터 분석을 통해이 같은 추세가 나타나고 있다고 보도했습니다.
주택 소유 비율 집계는 독립 세대를 기준했습니다.
이 가운데 직업이 없이 부모의 집에 얹혀사는자녀 등은 통계에서 제외됐습니다.
분석에 따르면 30세 세대주의 주택 소유 비율은 39.7%에 달습니다.
이후 40세가 되면 58.2%가 집을 구매해거주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 비율은 점점 높아져 76세에 80.7%로 정점에 이르렀습니다.
대부분 장기 모기지론을 이용해 집을 구입했고,65세가 되야 빚을 다 갚은 사람이 대출 상환중인 비율보다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89세가 되도빚을 상환중인 사람도 10%에 달했습니다.
이런 가운데 CA주를 비롯한 텍사스 플로리다 등 썬벨트 지역에선 75~79세가 돼야 주택을 처분하는 것으로 시작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반면 몬타나주 등 캐나다 국경 부근 북부의 추운지방에선 65~69세 이후 집을 파는 것으로 조사결과 나타났습니다.
이는 추운 지방일수록 노년층이 집을 빨리 처분한다는 겁니다.
전문가들은 70대가 넘어가게 되면정신적, 신체적으로 쇠약해지면서다른 가족과 함께 거주하거나돌봄 시설로 들어가게 돼 주택을 처분하는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한편 인종별로 살펴보면 국내에서 아시아인은 백인에 이어 두 번째로 주택 소유 비율이 높았습니다.
하지만 아시아인의 경우 65세를 정점으로 급속하게 주택 소유 비율이 낮아졌습니다.
90세의 경우 아시아인의 주택 소유 비율은52.7%로 모든 인종 가운데 가장 낮았습니다.
라디오코리아 뉴스 김나연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