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lam News

관광객으로 몸살 앓는 유럽.. 팬데믹 끝나자 보복관광 '폭발'

코로나19 팬데믹이 끝난 이후 처음 돌아온여름 휴가철을 맞아 '보복관광'에 나선 전 세계 관광객이 유럽에 몰려들면서 주요 여행지가 몸살을 앓고 있다고 월스트리트저널(WSJ)이 어제(2일) 보도했다.

이탈리아 시장조사기관 '데모스코피카'에 따르면 올해 이탈리아를 찾는 관광객 수는 코로나19 발생 이전인 2019년 기록을 훌쩍 넘어설 전망이다.

올해 6∼9월 이탈리아를 방문하는 여행객은 2019년 동기 대비 3.7% 많고, 10년 전과 비교하면 30% 늘어난수준일 것으로 데모스코피카는 내다봤다.

이 같은 현상은 전 세계 관광객이 코로나19로 여행이 불가능했던 2020∼2022년 '잃어버린 시간'을 보상받고자 보복관광에 나선 데 따른 것이라고 WSJ은 전했다.

특히 중국은 올해 1월에야 자국민의 해외여행 제한 조치를 해제한 만큼, 이번 여름과 가을에만 중국인 관광객수백만 명이 유럽을 방문할 것으로 예상된다.

문제는 이처럼 몇 년 만에 관광객이 몰리면서 이탈리아와 프랑스 등 현지 사회가 달라진 환경에 쉽게 적응하지 못해 적잖은 불편을 호소하고 있다는 점이다.

아름다운 풍광으로 유명한 이탈리아 북서부 항구도시 포르토피노에서는관광객들이 사진을 찍느라 한 자리에 오래 머물면서통행에 문제가 생겨 현지인들이 불만을 제기하는 일이 잦아졌다.

포르토피노 당국은 교통에 방해를 줄 경우 벌금을 부과하는 강경책까지 도입했으나 문제는 쉽게 해결되지 않고 있다.

그리스 아테네에서는 관광객을 대상으로 한 에어비앤비 등 숙박 공유업체가 늘어나 임대료가 상승하면서 이를 감당하지 못한 현지인이 도심 외곽으로 밀려나는 상황이라고 WSJ은 전했다.

실제 올해 5월 아테네 내 단기 임대 숙소 수는 2018년 동월 대비 25% 늘어난 1만여 개로 집계됐다고숙박 분석업체 '에어디앤에이'는 밝혔다.

단기 임대 숙소에 대한 수요도 지난해 5월보다 62% 증가한 수준이라고 에어디앤에이는 분석했다.

프랑스 정부도 루브르 박물관의 일일 방문객 수에 제한을 두고, 관광객이 성수기를 피해 기존에 알려지지 않은다른 여행지를 방문하도록 장려하는캠페인을 기획 중이라고 WSJ은 전했다.

한편 주류언론 악시오스는 올해 전 세계를 덮친 폭염으로 유럽에 대한 관광 수요가 오히려 감소할 수 있다고 내다봤다.

이탈리아, 그리스, 프랑스 등 국가에는 7월에 관광객이 가장 많이 몰리지만 현재 이들 국가 기온이연일 최고치를 기록하는 데다 산불까지빈번하게 발생하면서 여행을 취소하는 관광객이 늘었다는 설명이다.
그 대신 관광객들은 올여름 더위를 피해 네덜란드 암스테르담, 덴마크 코펜하겐 등 상대적으로 시원한 국가에 몰릴 것으로 보인다고 악시오스는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