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이 ‘제로 코로나’를 추구하면서 거리 곳곳에 소독제를 뿌리는 등 소독에 집착하는 모습을 보이는 것을 놓고 “과학적으로 소용이 없다”는 지적이 나왔다.
2일(현지시간) CNN은 중국의 국영방송 보도를 인용해 “중국의 가장 큰 발병 진원지인 상하이에서 수천 명의 작업자가 팀을 이뤄 지역 곳곳을 소독하고 있다”고 전했다.
CNN은 그러면서 ‘모든 것을 소독하고야 말겠다’는 중국 정부의 이같은 노력에 대해 시간 낭비에 가깝다는 지적이 나온다고 보도했다.
현지 지역 언론에 따르면 상하이 내 일부 지역에는 소독용 특수 장비가 설치됐으며 소독제를 살포할 수 있는 대형 탱크 차량도 거리에 배치됐다. 기차역에는 소독 로봇이 ‘검열 순찰’을 하고 있다.
소독 작업은 노동 집약적인 업무다보니 소방관은 물론 지역 청소년과 긴급구조 인력 등까지 작업에 차출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상하이 방역 당국은 주민들에게도 소독제의 살포를 권고하고 있다.
그러나 오염된 표면을 통해 바이러스가 전파될 가능성이 극히 낮은 상황에서 실외 공원이나 일반 도로를 소독하는데 집착하는 중국 정부의 조치는 극단적일 뿐더러 무의미하다는 게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실제 지난해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DC)의 연구 결과에 따르면 코로나19에 오염된 표면을 접촉했을 때 감염으로 이어질 확률은 1만분의 1에도 못 미쳤다.
과도한 소독 조치는 오히려 대중의 건강을 위험에 빠뜨릴 수 있다는 비판도 나온다.
미국 뉴저지주 릿거스 의대의 이매뉴얼 골드먼 교수는 과도한 소독에 노출된 사람은 건강에 피해를 볼 수 있다고 우려했다. 세계보건기구(WHO) 역시 “소독제를 실외에서 뿌리는 것은 건강에 유해할 수 있고 눈, 호흡기 또는 피부에 자극이나 손상을 줄 수 있다고” 설명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중국 정부가 과학적 신뢰도가 크지 않은 소독에 집중하는 데는 정치적인 이유가 있다는 분석도 있다.
니컬러스 토머스 홍콩대 부교수는 “소독 로봇의 등장과 거리 소독제 살포는 정부 조치에 대한 대중의 신뢰를 강화하기 위해 고안된 보여주기식 행위”라고 말했다.
그는 코로나19가 외부에서 유입됐다는 중국 정부의 논리를 설파하기 위한 수단이라고도 했다. 중국 정부는 코로나19가 중국 우한이 아닌 다른 곳에서 시작됐다는 주장을 고수해왔다. 특히 해외에서 들여온 냉동식품에서 코로나19 바이러스가 검출된 사례를 내세우며 ‘외부 유입설’의 근거로 밀어붙였다.
토머스 부교수는 ‘외부 유입설’을 설파하기 위한 하나의 수단으로 야외 방역에 집착하는 모습을 보이는 것이라면서 “전염병 대응에 있어서 정치 논리가 지배하고 과학에서 벗어난다면 그건 문제”라고 꼬집었다.
CNN도 중국 정부가 모든 해외 수입 품목에 대해 바이러스의 흔적을 찾고, 일부 도시에서는 국제 우편과 소포를 소독하는 것도 같은 이유로 보인다고 풀이했다.
이주연 인턴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