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lam News

1,300명이 넘는 주방위군, LA에서 철수

이민단속 반발 시위에 대응하기 위해 배치됐던 주방위군(National Guard) 병력 중에서 1,000여 명이 LA에서 철수했다.

국방부는 성명을 통해 약 1,350명의 캘리포니아 주방위군 병력이 철수한다고 밝혔다.

이는 지난 6월,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지시로 LA에 투입됐던 5,000명 이상의 주방위군과 해병대 병력 중 일부다.

숀 파넬(Sean Parnell) 국방부 대변인은 LA의 무법 상태로부터 연방 기능을 보호한 군 병력들의 그동안 노고에 감사를 표한다고 전했다.

이에 대해서 LA 시 정부와 주 정부 등은 처음부터 연방 병력의 배치에 강하게 반발해 왔고 이번 1,000명의 철수 소식에도 비판을 가했다.

캐런 배스 LA시장은 “무장 점령”이었다고 규정하며, 또 한번 LA가 연방 정부를 상대로 올린 승리라고 강조하면서 모든 병력이 철수할 때까지 압박을 멈추지 않을 것임을 분명히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연방 병력 투입의 배경으로 이민단속 강화와 치안 유지를 내세웠다.

당시 LA 도심에서는 일부 시위대가 건물에 낙서를 하고, 자율주행차 ‘Waymo’에 불을 지르는 등 과격한 양상이 벌어졌다.

트럼프 대통령이 주방위군과 해병대 병력 투입을 결정한 것도 LA 지역에서 거세게 반발하면서 진행된 시위에 대한 맞대응 차원이었다.

이같은 군 투입이 트럼프 대통령 독단적 결정으로 이뤄지자 개빈 뉴섬 주지사를 포함한 캘리포니아 민주당 지도부는 즉각 반발했다.

개빈 뉴섬 주지사는 병력 투입 다음 날인 6월 9일, 연방정부를 상대로 10차 수정헌법 위반을 이유로 소송을 제기하며 “전례 없는 주권 침해”라고 강하게 트럼프 대통령을 비난했다.

개빈 뉴섬 주지사는 오늘(7월31일)도 성명을 발표하고 트럼프 대통령의 정치적 쇼가 역풍을 맞았다며 이 같은 군사화는 처음부터 불필요했고, 시민들의 지지도 받지 못했다고 지적했다.

실제로 LA의 시위 상황이 점차 진정되면서, 급히 배치된 군 병력은 특별한 임무 없이 주둔지에서 머물며 대부분 대기 상태를 유지하고 있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7월 중순, LA 웨스트우드의 연방건물 경비를 서던 한 해병대원은 “할 일이 별로 없다”며 답답함을 드러내놓고 표현하기도 했다.

국방부는 LA 지역에서 그동안 전개된 군사작전에 약 1억 3,400만 달러의 예산이 소요될 것으로 추산하고 있다.

국방부는 이달(7월) 들어 단계적으로 병력 철수를 진행해 왔다.

지난 15일에 주방위군 2,000명을 철수시켰고, 21일에는 해병대 700명이 추가로 부대로 복귀했다.

현재 약 250명의 캘리포니아 주방위군 병력만이 LA에 잔류해 연방요원과 주요 건물의 경비를 계속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