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십 곳에 달하는 데이터 브로커 업체들이 개인정보 삭제(Opt-out) 페이지를 일반 검색엔진에서 숨겨, 사실상 소비자들이 개인정보를 삭제하기 어렵게 만들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 연방상원의원이 이같은 의혹을 제기하면서 소비자 개인정보 삭제 가능성을 숨긴 업체들을 대상으로 문제점을 추궁하면서 강력히 압박하고 나섰다.
민주당 소속 매기 하산 뉴 햄프셔 연방상원의원은 상원 합동경제위원회에서 민주당 간사로 활약하고 있는데 최근 조사에서 최소 35개의 데이터 브로커 업체들이 ‘개인정보 삭제 요청 페이지’를 구글과 같은 검색엔진에서 차단한 사실이 드러나자, 주요 기업들에 공식 해명을 요구했다.
이번에 문제가 된 업체는 IQVIA Digital을 비롯해서 Comscore와 Telesign, 6sense Insights, Findem 등이다.
매기 하산 연방상원의원은 이들 데이터 브로커 기업들이 의도적으로 개인정보 삭제 요청 절차를 어렵게 만들었다고 보고 있다.
이에 따라 매기 하산 연방상원의원은 이 들 35개 업체들에 검색 차단 코드 사용 여부와 규모, 9월 3일까지 차단 코드 삭제, 최근 내부 감사 결과 제출 등을 요구하면서 강한 압박을 가하고 있다.
캘리포니아 법은 데이터 브로커들에 대해서 개인정보 삭제 방법을 제공하도록 규정하고 있지만, 다수 업체가 ‘옵션 숨기기’를 통해 사실상 권리를 무력화시켰다는 지적이다.
전문가들은 이를 불법 ‘다크 패턴’에 해당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다크 패턴은 이용자가 자신의 권리를 행사하지 못하도록 복잡한 절차나 시각적 기만 요소를 활용하는 온라인 설계 기법이다.
데이터 브로커 산업은 개인의 위치 정보, 정치 성향, 종교적 배경까지 포함한 매우 방대한 개인정보를 수집·판매하며 수십억 달러 규모로 성장해왔다.
일반 이용자들은 자신의 정보가 어떻게 거래되는지 거의 알지 못하고 있으며, 삭제를 요청하는 것 또한 극도로 복잡한 절차를 거쳐야만 가능하다.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는 올해(2025년) 초 집권하고 난 직후에 브로커 업체의 데이터 수집을 규제하는 강력한 규정안을 철회했으며, 美 정보기관이 상업적인 개인정보를 공동으로 활용할 수 있는 중앙화된 데이터 구매 시스템을 준비 중인 것으로 드러나 연방정부의 모순된 태도라는 비판이 나오고 있는 실정이다.
가정폭력·스토킹 피해자 지원단체들은 브로커들이 판매하는 개인정보가 생존 피해자들에게 심각한 위험을 줄 수 있다고 경고하고 있다.
또한 진보 성향 시민단체 ‘디맨드 프로그레스(Demand Progress)’는 데이터 브로커 산업이 스스로 규제할 의지가 없다는 것이 분명하게 드러났으며, 소비자들의 피해가 이같은 구조적인 문제에서 비롯된다고 지적했다.
매기 하산 연방상원의원은 미국인들이 스스로 개인정보를 보호하기 위해서 끝없는 미로를 헤매도록 방치하고 방관할 수 없다는 입장을 분명히 하며, 기업들이 반드시 쉽고 투명한 권리 행사 방법을 보장해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