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lam News

WHO, ‘원숭이두창’ 개명 검토…“원숭이 표현은 차별적”


세계보건기구(WHO)가 원숭이두창을 둘러싼 오명과 인종차별에 대한 우려를 고려해 공식 명칭 변경을 검토한다.

블룸버그 통신 등 외신은 14일(현지시간) “WHO가 원숭이두창이 속한 과인 진성두창바이러스 전문가들과 더욱 적절한 이름을 상의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이는 지난주 국제 과학자 30여명이 원숭이두창 명칭에 대한 긴급한 개명 필요성을 제기한 데 따른 것이다. 이들은 성명을 통해 “원숭이란 꼬리표는 차별적이고 낙인효과를 낳는다”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현재 전 세계적인 유행 맥락에서, 이 바이러스에 대한 지속적인 언급과 명명법은 부정확할 뿐만 아니라 차별적이고 오명을 씌우는 것”이라며 “광범위하게 확산하는 감염병에 특정 지역이나 동물 이름을 명명한 것은 WHO 지침과도 상충한다”고 지적했다.

WHO의 지침에 따르면 질병의 이름은 부정적인 영향을 최소화해야 한다. 또 특정 문화 사회 국가 지역 직업 또는 인종 그룹에 불쾌감을 줘선 안 된다.

또 병명이 원숭이두창일 뿐, 정확한 동물 감염원은 밝혀지지 않았다. 지난 1958년 실험실 원숭이에서 처음 발견돼 이같이 명명했으나, 과학계에 따르면 현재는 설치류가 주 감염 매개체로 지목된다.


원숭이두창 보도 관련 사진에 대한 지적도 제기됐다. 지난달 아프리카 외신협회는 “미국·유럽 등 서방언론은 원숭이두창 보도사진으로 흑인 사진 사용을 중단하라”고 촉구했다.

이번 성명을 발표한 과학자들도 “다른 질병과 마찬가지로 전 세계 어느 지역에서나 발생할 수 있으며 인종이나 민족에 관계없이 누구에게나 피해를 준다”며 “어떤 인종이나 피부색도 이 질병의 얼굴이 되어서는 안 된다”고 강조했다.

이들은 차별적 용어와 사진 사용 이유에 대해 “이제껏 아프리카에서 발병한 질병이라 국제사회가 무관심했기 때문”이라고 비판했다.

앞서 테워드로스 아드하놈 거브러여수스 WHO 사무총장도 지난 8일 브리핑에서 “원숭이두창이 고소득국가에서 발병하자 국제사회가 이제야 관심을 둔 건 불행한 단면”이라고 말한 바 있다.

이찬규 인턴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