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lam News

아시안, "코로나19에 부분적 책임" 응답, 1년새 크게 증가

전국에서 1년 새 아시안에 대한 불신이 눈에 띄게 높아졌다는 여론조사 결과가 나왔다.
어제(4일) 미 매체 악시오스에 따르면 이날 비영리단체 '변화를 위해 아태계 연대를 이끄는 모임'(LAAUNCH)과 '아시아계 미국인 재단'(TAAF)은 올해 2월 10 - 28일 미 성인 5천113명을 대상으로 한 여론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먼저 아시아계 미국인에게도 코로나19의 세계적 유행과 관련한 책임이 조금이나마 있다고 답한 미국인은 지난해 11%에서 21%로 증가했다.

아시아계 미국인이 미국보다 출신 국가에 대한 충성도가 더 높다고 생각한다는 미국인은 같은 기간 20%에서 33%로 늘었다.

심지어 응답자의 26%는 아시아계를 겨냥한 혐오범죄가 늘어나지 않았다고 말했고, 7%는 그런 범죄가 오히려 과거보다 줄었다고 말했다.

이는 코로나19 이후 고조된 반아시아 감정을 바탕으로 미국에서 아시아계를 겨냥한 무차별적 혐오 표현과 폭행이 잇따르는 현실과 동떨어진 인식을 지닌 사람이 3명 중 한 명꼴이란 이야기다.

앞서 CSU 샌버나디노의 증오·극단주의연구센터(CSHE)는 지난해 한 해 동안 미국에서 발생한 아시아계에 대한 혐오범죄가 전년도보다 339% 증가했다고 밝힌 바 있다.

그런 까닭에 미 사회에 대한 아시아계 미국인의 소속감도 낮은 수준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미국에 완전한 소속감을 느끼고 자신이 받아들여진다고 느낀다'고 답한 아시아계 미국인 응답자는 전체의 29%에 그쳤다.

이는 아프리카계 미국인(33%), 라틴계 미국인(42%), 백인(61%) 등 전 인종을 통틀어 가장 낮은 수치다. 

아시아계 미국인 응답자의 71%는 아시아계가 미국에서 차별을 당하고 있다고 말했다.

TAAF의 노먼 첸 최고경영자(CEO)는 코로나19와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의 반중 정책 때문에 이런 현상이 나타났다고 생각할 수 있지만 더 깊이 들어가면 이는 결국 아시아계 미국인에 대한 뿌리 깊고 체계적인 인종차별의 현실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반중 정서를 자극하는 미 정치인들의 언사도 아시아계 미국인에 대한 불신을 키우는데 부분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다면서 절제된 표현을 주문하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