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기준금리를 0.75% 포인트 인상하는 ‘자이언트 스텝’을 단행했다. 7월에도 같은 폭의 금리 인상을 시사하는 등 하반기에 기준금리를 3.4% 수준까지 끌어올리기로 했다. 예상보다 높은 인플레이션 수치에 강력 대응 의지를 보인 것이다.
연준은 15일(현지시간) 이틀간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를 마친 뒤 성명을 발표하고 현재 0.75~1.0%인 기준금리를 1.5~1.75%로 0.75% 포인트 인상한다고 밝혔다. 이는 1994년 이후 28년 만에 최대 인상 폭이다.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은 “다음 회의에서도 0.5~0.75% 포인트 인상 가능성이 가장 커 보인다”고 말했다. 자이언트 스텝을 지속할 수 있다는 것이다. 다만 “(0.75% 포인트는) 대단히 큰 폭의 인상으로 이런 규모의 움직임이 흔한 조치가 될 것이라고 기대하지는 않는다”고 덧붙였다.
FOMC 위원들의 향후 금리 전망을 보여주는 지표인 점도표(dot plot)에서 올해 말 금리 수준은 3.4%로 나타났다. 올해 예정된 네 번의 회의에서 추가로 1.75% 포인트를 올려야 한다는 의미다.
연준의 강수는 인플레이션 상승을 견인하고 있는 공급망 혼란이 지속할 것이라는 판단 때문이다. 연준은 올해 물가상승률 전망치를 지난 3월 4.3%에서 5.2%로 올렸다.
경기침체 우려도 커졌다. 연준은 올해 미국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1.7%로 지난 3월 전망치(2.8%)보다 1.1% 포인트 하향 조정했다. 연준 위원들은 실업률이 올해 말 3.7%, 2024년에는 4.1%까지 오를 것으로 봤다.
미국이 28년 만에 기준금리를 0.75% 포인트 올리면서 한국의 기준금리 인상 폭도 커질 전망이다. 현재 한·미의 기준금리 차는 기존 0.75∼1% 포인트에서 0∼0.25% 포인트로 줄어든 상태다. 금리 차가 빠르게 좁혀지거나 역전될 경우 외국인의 국내 투자금이 급격하게 빠져나가면서 주식·채권 시장이 크게 휘청일 수 있다. 그렇다고 금리를 한꺼번에 크게 올리면 경기가 둔화할 위험이 있다. 기준금리 인상은 또 가계대출 이자 부담을 크게 늘리고 기업의 자금 조달을 어렵게 할 수 있다.
하지만 한국은행은 물가 안정이 시급하다고 보고 있어 다음 달 기준금리를 0.5% 포인트 올리는 ‘빅스텝’ 카드를 꺼낼 가능성이 크다. 한·미의 금리 차가 사실상 제로인 상황을 고려하면 빅스텝은 선택이 아닌 필수라는 분석도 제기된다.
한은이 빅스텝을 단행해도 연준이 다음 달 26~27일(현지시간) FOMC 정례회의에서 빅스텝이나 자이언트 스텝을 밟으면 금리 차는 다시 사라진다.
이창용 한은 총재는 이날 빅스텝 가능성을 묻는 기자들의 질문에 “다음 금융통화위원회 회의(7월 14일)까지 3∼4주 남아 많은 변화가 있을 수 있다. 그사이 나타난 시장 반응을 보고 결정할 것”이라고 답했다.
워싱턴=전웅빈 특파원, 김경택 기자 imu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