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lam News

中 기준금리 동결…美 공격적 긴축에 ‘관망’ 기조 유지


중국이 기준금리 역할을 하는 대출우대금리(LPR)를 동결했다. 도시 봉쇄로 침체된 경기를 부양하기 위해 돈을 풀어야 할 상황이지만 미국이 기준금리를 한꺼번에 0.75% 포인트 올리는 등 강력한 긴축에 나서자 통화 정책을 펼 여지가 줄어든 것으로 분석된다.

중국 중앙은행인 인민은행은 20일 이번 달 1년 만기 LPR이 3.7%로 집계됐다고 밝혔다. 1년 만기 LPR은 2020년 4월 이후 줄곧 3.85%를 유지하다가 20개월 만인 지난해 12월 0.05% 포인트 하락했고 지난 1월 다시 0.1% 포인트 떨어졌다. 주택담보대출과 연동된 5년 만기 LPR도 4.45%로 변동이 없었다. 인민은행은 상하이 봉쇄 충격이 반영된 4월 경제 지표가 발표된 지난달에도 1년 만기 LPR을 동결하고 5년 만기 LPR만 0.15% 포인트 내렸다. 5년 만기 LPR 인하는 부동산 시장을 활성화하려는 조치로 해석됐다.

시장에서는 LPR 동결 가능성을 높게 봤다. 지난달 5년 만기 LPR을 인하한 데 따른 효과가 나타나는 데 시간이 더 필요하고 중국 정부가 내놓은 경제 안정화 조치가 이행 단계에 접어들었기 때문이다. 또 미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다음 달 기준금리를 0.75% 포인트 추가 인상할 수 있다는 전망이 제기돼 통화 정책 디커플링에 따른 부작용을 고려할 필요성이 있었다. 미국, 영국 등 서방 국가들이 금리를 인상하는 와중에 중국이 금리를 내리면 자본 대량 유출, 위안화 가치 하락 등의 부담을 질 수 있다.

중국 국무원은 지난 15일 리커창 총리 주재로 열린 회의에서 경기 부양 의지를 밝히면서도 “화폐를 과도하게 찍어내지 않고 미래를 앞당겨 쓰지 않을 것”이라고 선을 그었다. 중국은 물가 상승률이 높지 않고 위안화 환율도 비교적 안정적이어서 정책 수단을 활용할 여지가 있다. 다만 과도한 경기 부양을 하지 않겠다는 기조를 감안하면 하반기 금리를 인하하더라도 소폭에 그칠 것이란 관측이 많다.

LPR은 중국의 18개 시중은행이 보고한 최우량 고객 대출금리의 평균치다. 시중은행의 대출금리를 취합한 것이지만 실제로는 인민은행이 각종 통화 정책을 활용해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중앙은행이 LPR을 결정하는 셈이다. 인민은행은 매달 20일 LPR을 고시해 전 금융기관이 대출 업무의 기준으로 삼도록 하고 있다.

베이징=권지혜 특파원 jhk@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