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lam News

누리호 발사 성공에 외신 “한국, 우주강국 대열 합류”


국내 자체 기술로 설계·제작된 한국형 발사체 누리호(KSLV-Ⅱ)가 21일 발사에 성공하자 외신들도 “성공적”이라며 실시간으로 소식을 전했다.

AP통신은 “한국의 첫 국산 우주발사체인 누리호가 2번째 도전에서 성공했다”며 “이번 발사 성공으로 한국은 자체 기술로 위성을 쏜 10번째 국가이자, 실용급 위성을 발사할 수 있는 7번째 국가가 됐다”고 평가했다. 이어 “한국이 북한과 적대감이 고조되는 상황에서 우주개발 강국 대열에 합류하는 동시에 우주 기반 감시시스템 구축이 가능한 핵심기술을 증명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고 짚었다.

CNN은 “자체 개발한 누리호로 인공위성을 궤도에 성공적으로 쏘아 올렸는데 이는 지난해 실패한 후 급격히 발전한 우주 프로그램에서 중요한 단계”라고 보도했다. 이어 “한국이 우주기술 분야에서 이웃 국가들을 따라잡기 위해 고군분투해왔다”며 누리호가 우주 강국인 러시아의 기술이 아닌 순수 한국 기술로 성공했다는 점을 강조했다.

로이터통신은 “누리호는 6G 통신, 정찰 위성, 달 탐사 분야에서 야심 찬 목표를 달성하려는 한국 계획의 초석”이라며 “우주로의 발사는 북한이 핵으로 무장한 탄도 미사일 프로그램에 대한 제재를 받는 상황에서 오랫동안 민감한 문제”라고 언급했다.

일본 닛케이아시아는 “한국은 자체 기술로 위성을 궤도에 올릴 수 있는 10번째 국가이자, 1톤 이상의 위성을 발사할 수 있는 7번째 국가가 됐다”고 설명했다. 이 매체는 한국이 오는 8월 궤도선 ‘다누리(KPLO)’를 발사할 예정인 점도 언급하며 “다누리는 고해상도 카메라 등의 장치로 달을 연구하게 될 것”이라고 부연했다.

중국 매체들도 관련 소식을 자세히 보도했다. 인민일보 해외망은 “한국은 12년 가량 약 2조원의 예산을 투입해 누리호 발사에 성공했다”면서 “한 차례 발사 실패를 이겨내고 세계 7번째 자체 위성 발사국이 됐다”고 보도했다.

과학 전문매체인 펀저우싱천다하이는 “누리호는 지상 600∼800㎞ 지구 저궤도에 1.5t 중량을 실어 나를 수 있도록 개발됐다”면서 “이는 1970년대 중국에서 개발한 창정 2호 2단 로켓과 비슷한 수준의 기술력”이라고 소개했다.

중국공산당 기관지 인민일보 자매지인 환구시보는 국내 네티즌의 반응을 인용해 “누리호 발사 성공의 공은 문재인 전 대통령에게 있다”고 소개하기도 했다. 환구시보는 “문 전 대통령이 지난해 5월 한·미 정상회담에서 미국 측에 한·미 미사일지침 완전 종료를 요청해 합의를 끌어냈다”며 누리호 개발에 문 전 대통령이 큰 공헌을 했다고 강조했다.

박재현 기자 jhyu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