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lam News

[현장기자] 얼굴 보기 힘들었던 장하성 대사… 씁쓸한 뒷맛 남긴 퇴장


장하성 중국 주재 대사가 22일 베이징 한국대사관에서 이임식을 갖고 3년2개월의 임기를 마쳤다. 대사관 측은 일찌감치 이임식을 직원들만 참석하는 내부 행사로 치르겠다고 공지했다. 내부 행사라는 이유로 장 대사의 인사말이나 현장 사진도 언론에 공개하지 않았다.

이임식에 참석한 사람들에 따르면 장 대사는 따로 준비한 원고 없이 그간의 소회를 담담하게 이야기했다. 2019년 4월 처음 베이징에 부임했을 때의 기억을 떠올리는 것을 시작으로 대중 외교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같이 일한 직원들에게 고마움을 표했다고 한다.

장 대사는 역대 최장 기록을 세운 김하중 전 주중 대사(6년5개월) 다음으로 재임 기간이 길었다. 하지만 이 기간 장 대사가 대중 외교의 최일선에서 분주하게 뛰었느냐고 묻는다면 아쉽게도 대답은 ‘노’다. 재임 기간 3분의 2가량이 코로나19 시기와 겹쳐 활동에 제약이 있었던 건 사실이다. 그렇다고 해도 부임 때 약속한 양국 고위급 간 활발한 소통, 경제·통상·미세먼지 등 각 분야의 실질적 협력 강화, 한반도 문제의 평화적 해결 중 크게 진전된 것을 찾기 어렵다.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의 방한 문제는 3년 내내 “긴밀히 소통 중”이라고만 하다가 끝났다. ‘친중’ ‘대중 저자세 외교’라는 비판을 감내하며 미·중 사이에서 균형을 잡겠다고 한 정부의 대사였기에 아쉬움은 더 클 수밖에 없다.

그렇다고 중국에 나와 있는 한국 기업, 교민들과의 소통이 활발했는가 하면 그것도 아니다. 사실 플래카드 걸고 이임사 낭독하고 꽃다발 건네는 식의 시끌벅적한 이임 행사는 안 한 지 오래됐다. 그런데도 장 대사의 조용한 퇴장이 유독 씁쓸한 뒷맛을 남기는 건 그가 교민사회에서 ‘얼굴 보기 힘든 대사’로 워낙 유명했기 때문이다. 장 대사의 언론 기피는 베이징에 나와 있는 기자들이라면 한 번쯤 공감했을 대목이다. 장 대사는 이날 한국 특파원단에 “한 중 우호 관계 증진에 일조할 수 있었던 기회를 가지게 된 것을 의미 있게 생각한다”는 메시지를 남겼다.

곧 베이징에 부임할 정재호 신임 주중 대사는 대통령과 가깝고 중국을 잘 아는 인사라는 점에서 기대를 받고 있다. 동시에 학자 출신 대사들이 종종 그랬듯 담론만 내세우거나 친화력이 부족한 것 아니냐는 우려도 나온다. 정 대사가 물러날 즈음엔 최소한 작별 인사는 홀가분하게 하고 떠날 수 있는 상황이 되길 기대한다.

권지혜 기자 jhk@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