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7개국(G7)이 중국의 일대일로 정책에 맞서 개발도상국의 인프라에 6000억 달러(777조6000억원)를 투자하기로 했다.
G7 정상은 26일(현지시간) 독일 바이에른주 엘마우성에서 열린 정상회의에서 ‘글로벌 인프라·투자 파트너십’(PGII)를 체결하고 향후 5년간 개발도상국 인프라 사업에 6000억 달러를 투자하기로 했다.
미국은 연방기금과 민간 투자를 동원해 2000억 달러(257조원)를 조성할 예정이다. 유럽연합(EU)도 약 400조원을 투자하기로 했다. 우르줄라 폰데어라이엔 EU 집행위원장은 “중국의 일대일로에 대응하는 지속가능한 대안을 구축하기 위해 5년간 3000억 유로를 동원할 것”이라고 전했다.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도 이날 650억 달러(83조원) 이상의 투자를 약속했다.
인프라 투자는 크게 환경·보건·정보통신·성평등을 중심으로 진행될 예정이다. 구체적으로는 아프리카 앙골라 남부 4개 주에서 이뤄질 20억 달러 규모의 태양광 발전 사업과 싱가포르, 아프리카, 프랑스를 잇는 1만7000㎞ 해저 통신케이블 부설 사업 등이 소개됐다. 세네갈의 코로나19 백신 생산 시설 건립과 루마니아 차세대 원자력발전소의 소형모듈원자로(SMR) 기본설계 지원, 탄소저감 및 전력체계 강화를 위한 동남아시아 스마트 전력 사업 투자 등의 방침도 제시됐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은 “이것은 원조나 자선단체가 아닌 모든 사람에게 수익을 가져다 줄 투자라는 걸 분명히 하고 싶다”며 “민주주의 국가와 협력하는 것이 어떠한 구체적인 이익을 가져다주는지 보여줄 수 있도록 할 것이다”고 말했다.
백악관은 보도자료에서 “PGII는 (선진국과) 개발도상국의 인프라 격차를 메우는, 판도를 바꿀 사업들로 세계 경제와 공급망을 강화하고 미국의 국가안보를 증진할 것”이라며 “G7이 6000억 달러를 투자하는 건 단지 시작에 불과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미국과 G7 파트너들은 뜻이 비슷한 협력국과 다국적 개발은행, 개발금융기관, 국부펀드 등으로부터 추가 자금을 모으는 방안을 추진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일대일로는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2013년 제시한 신실크로드 구상으로 고속도로, 철도, 항만 등 대규모 인프라 구축 지원을 통해 중국과 유럽, 동남아, 아프리카 등을 잇는 프로젝트다. 현재 일대일로 참여국은 개발도상국을 중심으로 140개국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졌으며 미국은 이를 중국 중심의 경제 패권 구축 작업으로 보고 있다.
백재연 기자 energ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