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lam News

NASA 달 궤도 위성 ‘우주 미아’ 될 뻔… 교신 재개


미국 항공우주국(NASA)이 우주에서 실종됐던 달 궤도 시험비행 위성 ‘캡스톤’과 하루 만에 교신을 복원했다.

NASA는 6일(현지시간) “캡스톤 운영자들이 교신을 재개했다”고 발표했다. 캡스톤 설계·운영을 담당하는 민간기업 ‘어드밴스드 스페이스’는 트위터에 이 사실을 전하면서 “우주선이 행복하고 건강해 보인다”고 밝혔다. 재치 있게 트윗을 적었지만, 캡스톤의 실종은 가슴을 쓸어 내릴 만한 사건이었다. 캡스톤은 달에 도달하기도 전에 ‘우주 미아’가 될 뻔했다.

캡스톤은 ‘지구와 달 간 자율 위치 체계 기술 운영 및 항법 실험’(Cislunar Autonomous Positioning System Technology Operations and Navigation Experiment·CAPSTONE)의 영문 머리글자를 조합해 지어진 이름이다.

미국의 달 재탐사 계획인 ‘아르테미스(Artemis)’ 프로그램에서 핵심인 달 우주정거장 ‘게이트웨이(Gateway)’의 궤도를 6개월간 돌며 안정성과 변수를 시험하는 임무를 맡았다. 무게 25㎏짜리 큐브샛으로, 크기는 전자레인지 정도에 불과하다.

캡스톤은 지난달 28일 로켓에 실려 발사돼 엿새 간 지구 저궤도를 돌며 고도와 속도를 높였다. 지난 4일 로켓의 3단 추진체 ‘루나 포톤’에서 분리돼 달로 이동하는 4개월의 여정에 올랐다.

하지만 달로 출발한 지 하루 만에 NASA의 심우주네트워크와 교신이 끊겼다. 루나 포톤과 성공적으로 분리한 뒤 태양광 패널로 배터리 충전을 시작했고, 스페인 마드리드 심우주네트워크 기지와 1차 교신을 마쳤다. 하지만 미국 캘리포니아주 골드스톤 기지와 불완전한 교신을 연결한 뒤 신호를 주고받지 못했다.

아르테미스 프로그램에서 게이트웨이는 달을 오가는 우주비행사들의 전진기지다. 캡스톤과의 교신을 복원하지 못했으면 아르테미스 프로그램은 초기 단계부터 차질을 빚을 수밖에 없었다.

NASA는 캡스톤의 교신 두절 원인과 복원 방법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지 않았다. 마지막 교신을 토대로 위성의 위치와 속도에 대한 자료를 확보하고 신호를 찾은 것으로만 알려졌다.

김철오 기자 kcopd@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