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lam News

英도 못 피한 ‘식량 인플레’ 굶는 사람 늘었다


경기 침체와 우크라이나 전쟁 등으로 인한 ‘인플레이션 충격’으로 선진국도 몸살을 앓고 있다. 끼니 해결에 어려움을 겪고 있고, 식품을 저소득 및 소외계층에게 나눠주는 푸드뱅크 이용자도 급증하는 추세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8일(현지시간) 최근 식량 물가가 치솟으면서 개도국, 선진국 할 것 없이 가계 지출에서 식료품이 큰 부분을 차지하는 저소득 가구의 살림살이가 팍팍해졌다고 보도했다. 민생고의 가장 대표적인 지표는 한층 가벼워진 장바구니다.

특히 선진국 가운데 영국은 식량 인플레이션 충격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5월 영국의 인플레이션율은 지난해 동월 대비 9.1% 증가하면서 40년 만에 가장 높은 상승률을 보였다. 주요 7개국(G7)과 비교했을 때도 가장 높은 수치다. 브렉시트(영국의 EU 탈퇴)로 통화가치가 하락해 일부 수입식품 가격이 많이 오른 상태에서 인플레이션까지 겹치며 중산층을 포함한 전 계층이 고통을 겪고 있는 셈이다.

식량 부족 때문에 굶는 사람의 숫자도 늘었다. 영국 자선단체 푸드 파운데이션 조사에 따르면 지난 한 달 동안 식사를 줄이거나 끼니를 걸렀다고 답한 성인은 1월 470만명에서 4월 730만명으로 3개월 만에 약 55% 급증했다. 영국 국가통계청(ONS)도 5월 설문조사에서 응답자의 약 44%가 고물가 때문에 식료품을 덜 사고 있다고 밝혔다.

식량 인플레이션은 우크라이나 전쟁이 기폭제가 됐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는 최근 38개 회원국의 5월 소비자물가지수(CPI) 상승률 평균을 9.6%로 집계했는데, 이는 1988년 이후 33년 만에 가장 높은 수치다. 튀르키예(터키)가 73.5%로 가장 높았고 에스토니아(20.0%) 리투아니아(18.9%) 라트비아(16.9%) 슬로바키아(12.6%)가 뒤를 이었다. 이들은 러시아의 원자재 의존도가 높은 국가다.

박재현 기자 jhyu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