존 볼턴 전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 국가안보보좌관이 12일(현지시간) 과거 해외 쿠데타 계획을 도왔다고 말했다.
볼턴 전 보좌관은 이날 CNN 생방송 인터뷰에서 “트럼프 전 대통령이 2021년 1월 의사당 난입 사건 때 ‘계획적 쿠데타’를 기도했다고 볼 수 없다”며 “이 나라가 아닌 다른 곳에서 쿠데타 계획을 도운 사람으로서 (보면) 쿠데타를 하는데 매우 많은 작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볼턴 전 보좌관은 트럼프 전 대통령이 대선에 불복하고 선거 결과를 뒤집으려던 게 쿠데타 하려고 했던 게 아니라는 취지로 설명하며 이같이 말했다.
볼턴 전 보좌관은 “트럼프 전 대통령의 대선 불복 과정은 두서없이 횡설수설하는 것과 비슷했다”며 “하나의 계획이 실패하면 다른 계획이 등장한다. 이게 그가 하고 있던 일”이라고 말했다. 트럼프 전 대통령이 쿠데타를 벌일 능력이 없다며 비판한 것인데, 이 과정에서 다른 나라의 쿠데타를 도운 적이 있다고 언급한 것이다.
볼턴 전 보좌관은 ‘어떤 쿠데타 시도를 말하는 것이냐’는 질문을 받고 “나는 책에서 베네수엘라에 관해 썼지만 성공하지 못했다”며 “우리가 그 일과 많은 관련이 있었던 것은 아니지만 야당이 불법적으로 선출된 대통령을 뒤집으려 했고, 실패했다”고 말했다.
미국은 2019년 베네수엘라에서 마두로 대통령 2기 취임에 반발한 야당 지도자 후안 과이도를 지지했지만, 과이도는 다른 사람들의 호응을 얻지 못해 정권 획득에 실패했다.
사회자가 “(베네수엘라 말고) 말하지 않은 다른 것들이 있는 것 같다”고 하자, 볼턴 전 보좌관은 “확실히 있다”고 언급했다.
로이터통신은 “미국은 과거 이란, 베트남, 이라크, 아프가니스탄 등 다른 나라에 개입한 일로 많은 전문가 비판을 받았다”며 “미 당국자가 외국의 소요를 촉발하는 데 있어 자신의 역할을 공개적으로 인정한 것은 드문 일”이라고 보도했다.
2019년 대선 때 군부에 의해 축출된 에보 모랄레스 전 볼리비아 대통령은 트위터에 “(볼턴의 발언은) 미국이 민주주의와 삶의 최악의 적임을 보여줬다”고 비판했다.
왕원빈 중국 외교부 대변인도 “다른 나라에 개입해 정권을 전복시키는 것이 미국의 행동 규칙”이라며 “놀랄 일도 아니다”고 비판했다.
마리아 자하로바 러시아 외무부 대변인은 “미국의 국제정책을 직접 맡은 고위직 중 이렇게 분명히 말한 사람을 본 적이 없다”며 “미국이 어느 나라에서 쿠데타를 계획했는지를 알아내는 게 중요하다”고 말했다.
워싱턴=전웅빈 특파원 imu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