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lam News

바이든 지지율, 중간선거 앞두고 요동치는 민심

미국 정치 지형을 가를 오는 11월 중간선거를 앞두고 바이든 대통령에 대한 지지율이 요동치고 있다.

연방대법원의 낙태 금지 판결로 여성 표심을 흡수한 가운데 인플레이션 감축법과 학자금 대출 면제 등 잇단 국내 정책 관련 입법 성과 속에서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과의 전면전 선포 등 중요 이슈가 잇따르면서 바이든 대통령에 대한 민심도 지지와 비판 사이에서 크게 흔들리는 것으로 읽힌다.

퀴니피액대가 지난달 (8월) 25∼29일 전국 유권자 1천584명을 조사해 오늘 (1일) 발표한 결과에 따르면 바이든 대통령의 지지율은 40%를 기록했다. 

이는 7월 같은 조사보다 9%포인트나 급등한 수치다.

특히 민주당 지지층의 83%가 바이든 대통령을 지지한다고 답해 7월보다 11%포인트 올랐다. 

이는 바이든 대통령이 최근 들어 트럼프와 공화당에 대한 비난 수위를 끌어올리며 지지층을 결집한 결과물로 해석된다.

하지만 이에 앞서 전날 로이터통신이 발표한 여론조사에서는 바이든 대통령의 지지율이 지난주보다 3%포인트 하락한 38%로 나타났다.

비록 두 여론조사에서 바이든 대통령에 대한 지지율 수치는 비슷하긴 하지만, 상승 추세와 하락 전환이라는 상반된 결과가 나왔다.

물론 로이터 여론조사도 일주일 전에는 6월 이후 처음으로 40%를 넘어섰다는 지표를 보여줬고, 지난달 말 CBS 방송이 실시한 조사에서도 지지율 45%로 지난 2월 이후 최고치를 기록하는 등 '대세 상승' 추세임을 뒷받침했다.

바이든 대통령의 지지율은 1년 전 혼란스러웠던 아프가니스탄 미군 철군을 계기로 곤두박질친 이후 장기간 30%대 박스권에 갇혀 왔었다.

하지만 대법원의 낙태 금지 판결 이후 지지율이 꿈틀대더니 이후 IRA 통과 등 바이든의 역점사업이 잇따라 성과를 내면서 상승 국면에 접어들었다. 

이런 가운데 바이든 대통령이 중간선거 전면에 등장한 트럼프 전 대통령과 공화당에 대한 본격적인 비판이란 승부수를 던지면서 여론 지형이 흔들리고 있다.

바이든 대통령은 지난달 25일 메릴랜드주에서 열린 민주당 모금 행사에서 트럼프가 여전히 내걸고 있는 '마가'를 거론하며 그 세력들을 '준파시즘'이라고 직격탄을 날렸다.

지난 30일 펜실베이니아주 연설에서도 1·6 의회 폭도들을 애국자로 부를 수 없다면서 '마가 공화당'을 강력하게 규탄했고, 트럼프 자택을 압수수색한 연방수사국FBI를 위협하고 있는 트럼프와 공화당을 향해 "역겹다"고 발언 수위를 높였다.

하지만 이번 퀴니피액대의 조사에서 공화당 지지층의 5%만이 바이든 대통령을 지지해 정당 지지층에 따른 양극화가 더욱 뚜렷해졌다. 

무당층의 지지율은 36%였다.

또 전체 응답자의 67%는 미국 민주주의가 붕괴 위기에 있다고 답했다. 

이는 지난 1월 같은 조사보다 9%포인트 오른 수치다.

특히 여성이 남성보다 이런 위기의식을 더 느꼈다. 

대법원의 낙태 금지 판결로 인한 여성들의 불만이 반영된 것이란 분석이다.

미국민들은 지난달 NBC 뉴스의 조사에서도 미국이 직면한 가장 중요한 이슈로 민주주의에 대한 위협을 꼽은 바 있다.

이런 추세를 감안한 듯 바이든 대통령은 이날도 펜실베이니아주를 찾아 민주주의를 구하기 위해 민주당에 한 표를 행사하라고 호소할 계획이다.

카린 장-피에르 백악관 대변인은 전날 브리핑에서 이번 연설은 민주주의가 위험에 처했다고 바이든 대통령이 생각하기 때문에 하는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바이든 대통령의 지지율에 관심이 쏠리는 이유는 대통령의 첫 번째 임기 중에 치르는 중간선거의 경우 전통적으로 백악관을 차지하고 있는 여당에 대한 심판의 성격이 강하게 작용해왔기 때문이다.

특히 현직 대통령에 대한 지지율은 민심의 흐름을 가장 잘 보여주는 지표 중 하나로 간주된다.

또 선거 결과에 따라 달라질 의회 권력 지형의 변화는 향후 바이든 대통령의 국정운영 및 주요 정책 수행에 변수가 되는 것은 물론 2년 뒤인 2024년 대선의 향배에도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