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에서 50년 만에 시도되는 유인 달 탐사 프로젝트 ‘아르테미스Ⅰ’ 임무 수행을 위한 로켓 발사가 또 무산됐다.
미 항공우주국(NASA)은 3일(현지시간) “아르테미스Ⅰ 로켓인 우주발사시스템(SLS) 엔진 하단부에서 연료인 초저온 액체수소가 대량 누출됐다”며 “카운트다운을 중단했다”고 발표했다.
NASA는 미국 플로리다주 케이프커내버럴 케네디 우주센터에서 로켓 연료 탱크에 약 100만 갤런(378만ℓ)에 달하는 수소 연료를 채우던 중 문제를 발견했다. 고압력 경보에 따라 중단된 연료 주입은 재개됐지만, 로켓 바닥의 엔진 부위에서 연료가 새는 현상이 나타났다.
발사를 책임지는 찰리 블랙웰 톰슨 디렉터는 미 동부시간으로 오전 11시17분 비행 취소를 선언했다. 카운트다운 시계는 2시간28분53초에서 멈췄다.
‘아르테미스Ⅰ’ 로켓 발사 실패는 두 번째다. 앞서 NASA는 지난달 29일 SLS 발사를 준비했지만 연료 누출 문제와 더불어 로켓 엔진의 온도 센서 결함, 단열재 균열 현상을 발견했다. 이날까지 두 번의 발사 시도는 모두 불발됐다.
NASA는 3차 시도 일정을 최소 2주일 뒤로 미뤘다. 구체적인 일정을 확정하지 않았다. NASA는 지구와 달의 위치를 고려할 때 로켓을 발사할 수 있는 다음 기회를 오는 19일부터 10월 4일, 10월 17∼31일 사이로 보고 있다.
빌 넬슨 NASA 국장은 “3차 발사 시도를 10월까지 연기할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10월 초 국제우주정거장(ISS)으로 우주 비행사 1명을 보내야 하는 만큼 그 이후 로켓을 발사하는 방안도 검토되고 있다고 넬슨 국장은 설명했다.
아르테미스는 1972년 아폴로 17호의 달 착륙 이후 정확히 50년 만에 재개된 유인 달 탐사 계획이다. 아르테미스 1단계인 ‘아르테미스Ⅰ’ 임무는 NASA에서 제작된 추진체 사상 가장 강력한 대형 로켓 SLS에 마네킹을 태운 캡슐 ‘오리온’을 탑재하는 방식으로 진행되고 있다.
오리온의 주목적은 우주비행사가 달에 도착한 뒤 안전하게 돌아올 수 있도록 우주선과 장비를 점검하는 것이다. NASA는 오리온을 달에 보낸 뒤 최초 발사 38일 만에 캘리포니아주 샌디에이고 인근 태평양 바다에 돌아오는 계획을 세우고 있다.
아르테미스는 오리온의 성공적 귀환을 1단계에서 확인해야 다음 단계로 넘어간다. 2단계는 2024년 유인 비행, 3단계는 2025년 최초의 여성과 유색인종 우주비행사의 달 착륙을 목표로 설정하고 있다.
김철오 기자 kcopd@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