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lam News

당대회 앞두고 해외순방 재개하는 시진핑…키워드는 SCO·일대일로·푸틴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코로나19 확산으로 중단했던 해외 순방을 2년 8개월 만에 재개하면서 첫 행선지로 카자흐스탄과 우즈베키스탄을 택했다. 카자흐스탄은 시 주석이 2013년 일대일로 프로젝트 구상을 처음 밝혔던 곳이고 우즈베키스탄에선 중국 도시 이름을 단 첫 국제기구인 상하이협력기구(SCO) 정상회의가 열린다.

시 주석은 SCO 정상회의 기간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는 별도 회담을 할 예정이다. 다음 달 16일 개막하는 중국 공산당 제20차 전국대표대회(당 대회)에서 3연임을 확정할 시 주석은 이번 순방을 통해 집권 이후 치적을 강조하고 대미 전선을 공고히 하려는 것으로 해석된다.

오는 15일 우즈베키스탄 사마르칸트에서 열리는 SCO 정상회의에는 시 주석과 푸틴 대통령을 비롯해 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 세예드 에브라힘 라이시 이란 대통령, 셰바즈 샤리프 파키스탄 총리 등이 참석할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 2월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미국을 중심으로 한 서방과 중국·러시아·이란·북한간 대치 전선이 뚜렷해진 상황에서 미국 견제에 뜻을 같이 하는 세 나라 정상이 한 자리에 모이는 것이다.

시 주석과 푸틴 대통령의 만남은 지난 2월 평창 동계올림픽 개막식 이후 7개월 만이다. 당시 푸틴 대통령이 시 주석에게 우크라이나 침공 계획을 사전에 알려줬는지는 확인되지 않았지만 중국은 국제사회의 대러 제재에 동참하지 않고 줄곧 러시아를 두둔하는 태도를 보였다. 서방 국가들이 러시아의 주력 수출품인 원유와 금 수입을 중단하는 조치를 취하면 중국과 인도가 대거 사들이는 식으로 제재 효과를 반감시켰다.

13일 중국 공산당 기관지 인민일보에 따르면 양제츠 중국 공산당 외교 담당 정치국원은 전날 안드레이 데니소프 주중 러시아 대사를 만나 “양국은 핵심 이익 문제와 관련해 서로를 확고히 지지하고 국제 무대에서도 밀접하게 협력하고 있다”고 말했다. 데니소프 대사도 “두 국가 정상의 지도 아래 양국 관계가 상당한 성과를 달성했고 역사상 전례 없는 높은 수준에 도달했다”고 평가했다. 중·러 정상회담은 양국의 밀착 관계를 재확인하는 자리가 될 것으로 보인다.

이번 SCO 정상회의에선 회원국 확대 문제가 주요 의제로 다뤄질 전망이다. 중국 관영 글로벌타임스는 “SCO 회원국 정상들은 이란을 회원국으로 받아들이는 양해각서를 채택하고 벨라루스의 회원국 가입 절차를 밟을 것”이라고 전했다. 왕이웨이 중국 인민대 국제문제연구소장은 글로벌타임스에 “전 세계 인구의 41%, 국내총생산(GDP)의 24%를 차지하는 SCO는 새로운 형태의 국제 관계를 형성하는 데 중추적인 역할을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시 주석은 우즈베키스탄에 앞서 14일 카자흐스탄을 방문해 카심 조마르트 토카예프 대통령과 회담을 갖는다. 시 주석은 2013년 9월 카자흐스탄에서 ‘신 실크로드 경제 벨트’를 처음 제안했고 곧이어 인도네시아에서 ‘21세기 해상 실크로드’를 꺼냈다. 그리고 그 해 11월 중국 공산당 중앙위원회 전체회의에서 일대일로가 국가 전략으로 채택됐다. 일대일로는 중국과 중앙아시아, 유럽을 잇는 내륙과 해상 경제 벨트로 경제 무역 합작을 확대하는 대규모 프로젝트다. 시 주석으로선 집권 10년 역점 과제 중 하나인 일대일로의 성과를 부각할 수 있는 셈이다. 중국 신화통신은 지금까지 140여개 국가와 30여개 국제기구가 중국과 일대일로 협력 문서에 서명했다고 보도했다.

베이징=권지혜 특파원 jhk@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