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lam News

Fed, 대표적 비둘기파도 금리인상 필요성 강조

연방준비제도(Fed)의 대표적 비둘기파 인사도 지금은 역사적 인플레이션을 잡는 것이 최우선이라고 했다.

급격한 금리인상 기조를 당분간 계속 유지해야 한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존 윌리엄스 NY 연방준비은행 총재가 인플레이션을 낮추기 위해 금리를 계속해서 올려야 한다는 점을 공개적으로 역설했다.

블룸버그 통신은 존 윌리엄스 NY 연방준비은행 총재가 NY 주립대(SUNY)에서 열린 토론회에 참석해서 공격적 금리인상 등 긴축 정책의 필요성에 대해서 여러가지 부분을 언급하며 강조했다고 전했다.

존 윌리엄스 NY 연은 총재는 이같은 급격한 금리인상을 기준금리가 약 4.5% 정도로 오를 때까지 계속헤야할 것으로 전망했다.

그러면서 인플레이션 정점과 긴축의 속도는 결국 경제에 달려있다고 강조했다.

존 윌리엄스 NY 연은 총재는 또 언제까지 금리인상을 계속할 것인지에 대해서는 연방준비제도(Fed)의 금리 인상 폭과 시기가 Data에 달려 있다고 언급했다.

결국 현재 연준의 초첨은 인플레이션을 2%로 낮추는 것이라는 설명이었다.

존 윌리엄스 총재는 연준 내에서 제롬 파월 연준 의장과 레이얼 브레이너드 연준 부의장에 이어서 연준의 3인자로서, 가장 대표적인 비둘기파(온건한 금리 정책)로 꼽히고 있는 인물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번 존 윌리엄스 총재의 발언은 다른 강경 매파 인물들 주장과 크게 다르지 않아 눈길을 끌었다.

거의 40년 만에 가장 심각한 역사적 인플레이션을 억제하기 위해서는 공격적인 긴축을 추진하는 것외에 다른 방법이 없다는 것으로 사실상 연준 내 매파 등 다른 연준위원들의 발언과 거의 일치하는 내용이다.

현재 시장도 어제(10월7일) 발표된 9월 고용 보고서에서 실업률이 3.5%에 불과해 사실상 완전고용 수준인 것으로 나타나면서 Fed의 급격한 금리인상이 멈추지 않고 계속될 것이라는데 베팅하고 있다.

지난달 신규일자리도 비농업 부문에서 26만3,000개가 늘어나 그 전달인 8월에 비해서 5만 2,000여개 줄어들기는 했지만 시장 예상치와 거의 비슷하게 나와 선방한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특히 실업률은 시장의 예상치를 상회한 수치로 그 전달 실업률이 3.7%로 사실상 완전고용 수준으로 매우 낮았는데 그런 낮은 수치에서 3.5%로 더 낮아진 것은 월가에서도 이례적이라는 분석이다.

존 윌리엄스 NY 연방준비은행 총재는 최근 달러 급등에 대해서도 언급했다.

존 윌리엄스 NY 연방준비은행 총재는 강달러 현상과 관련해서 Fed의 행동이 국제적 영향을 미쳤음을 인정했다.

3연속 자이언트 스텝을 밟으면서 Fed가 급격히 금리를 인상한 것이 강달러 현상을 일어나게 만든 원이이라는 것을 인정한 것인데 높은 인플레이션에 직면해 있는 외국 중앙은행들과 연락을 취하고 있다고 했다.

존 윌리엄스 NY 연은 총재는 이처럼 다른 나라들 어려움에 대해서도 결코 외면하는 것이 아님을 언급하면서도 Fed 정책의 초점이 미국의 인플레이션을 끌어내려 물가 안정을 회복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글로벌 경제도 걱정스럽고, 많은 나라들 상황도 염려가 되지만 Fed 의 최우선 목표는 어디까지나 미국 경제가 될 수밖에 없다는 설명이었다.

존 윌리엄스 NY 연은 총재는 Fed 통화정책이 결국 경제를 균형있게 정상적 수준으로 되돌리기 위해서 최선의 노력을 기울이는 상황이라는 것을 이해해달라고 언급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