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23일 중국 공산당 총서기로 재선출되며 3연임을 확정했다. 새 최고지도부는 시 주석의 비서였거나 그의 측근 그룹들로 채워져 ‘시진핑 1인 지배 체계’를 완전히 구축한 것으로 평가된다.
중국 공산당은 이날 20기 중앙위원회 1차 전체회의(20기 1중 전회)를 열어 향후 5년간 중국 공산당을 이끌 최고 지도부인 정치국 상무위원과 이들을 포함한 정치국원을 선출했다. 시진핑 현 총서기가 2012년, 2017년에 이어 3번째로 당 총서기로 선출되며 장기집권의 문을 열었다.
리창 상하이시 당서기, 리시 광둥성 당서기, 차이치 베이징시 당서기, 딩쉐샹 중앙판공청 주임이 새롭게 최고지도부에 합류했다. 이들은 시 주석의 측근 그룹인 이른바 ‘시자쥔(習家軍)’ 인사들이다. 시진핑 2기에서 각각 당의 선전·사상, 감찰 업무를 주관했던 왕후닝 중앙서기처 서기, 자오러지 중앙기율검사위원회 서기는 정치국 상무위원회에 잔류했다. 후춘화 부총리, 천민얼 충칭시 당서기는 최고지도부 진입에 실패했다.
새롭게 상무위원에 진입한 딩쉐샹은 시 주석의 상하이시 당서기 근무 시절 비서실장으로 인연을 맺었고 지난 10년간 시 주석의 비서실장 역할을 했다. 리창 역시 시 주석이 저장성에서 근무할 때 그의 비서실장을 지냈다. 상무위원 합류와 동시에 ‘당의 저승사자’로 불리는 중앙기율검사위원회 서기로 임명된 리시는 1980년대 리쯔치 간쑤성 당서기의 비서로 일하며 리 서기의 동향이자 상사였던 시중쉰, 시중쉰의 아들인 시 주석과 인연을 맺었다.
시 주석이 전임자의 ‘10년 집권’을 넘어서는 장기 집권 체제를 시작하면서 개혁개방 이후 중국의 집단지도체제는 와해하고, 시 주석 중심으로 결정 권한을 집중하는 ‘집중통일영도’ 체제가 본격화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번 인사에서는 5년 전과 마찬가지로 시 주석의 뚜렷한 후계자가 등장하지 않아 5년 후 시 주석의 4연임 가능성도 커졌다.
중국 관영 매체는 시 주석이 이번 인사를 주도했으며, ‘정치적 기준’이 인사의 핵심 원칙이라는 분석을 내놨다. 신화통신은 “시진핑 총서기는 ‘사람을 쓸 때 최우선은 정치적 기준’이라고 강조했다”며 “두 위원회(중앙위·중앙기율위) 진출 여부는 순서에 따라 당연히 들어간다거나 관례에 따른다는 생각을 해서는 안 된다. 가장 먼저 정치적 기준을 충족했는지, 정치적 소질을 조사해야 한다”고 보도했다.
김성훈 기자 hunhu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