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lam News

상하이 '도시봉쇄' 피해 가시화..병상 하나에 아기 서너명 누워

​중국의 '경제수도'로 불리는 상하이가 2020년 초 우한을 점점 닮아가면서피해가 점점 가시화 되고 있다.
중국당국은 인구 2천500만명의 초거대 도시를 7일째 봉쇄하고 있지만 일일 신규 감염자가 8천명대까지 급증하면서 병원이 밀려드는 환자에 제대로 대처하지 못하는 상황이다.

많은 감염자와 밀접 접촉자는 도시 곳곳에 급조된 임시 격리소로 보내 수용되고 있다.

현지시간 2일부터 중국 인터넷에서는 상하이의 한 병원 어린이 병동에서 신생아를 포함한 영유아가 한 병상에 다닥다닥 누워 우는 모습이 담긴 영상이 급속히 퍼졌다.

흰 방역복을 입은 간호사의 모습이 잠시 나오기도 했지만 부모에게서 떨어진 많은 아기를 제대로 돌볼 수 없는 형편으로 보이진 않았다.

걸음을 갓 뗀 아이들이 입원한 한 병실을 홀로 책임진 간호사는 지친 표정으로 한 아이를 안고는 한참 가만히 있었고그 옆으로는 다른 어린이들이 바닥에 앉아 놀고 있었다.

현재 중국 당국은 코로나19에 감염된 어린이를 부모와 분리해 별도로 수용하고 있다.

부모와 자녀가 동시에 감염돼도 부모는 일반 병원이나 임시 격리소로, 어린이는 전담 시설로 보내져 치료·관찰한다.

이 때문에 최근 많은 상하이 시민은 코로나19 감염 이상으로 감염 때 가족이 떨어져야 하는 데 큰 두려움을 느끼고 있다.

이 영상은 실제 만 2세 미만 코로나19 양성 어린이 환자를 치료하는 전담 병원인 상하이공공위생센터의 어린이 병동에서 촬영된 것으로 확인됐다.

센터 측은 현지시간 2일 성명을 내 해당 영상에는 우리 병원의 어린이 병동 내부 정돈이 이뤄지던 과정에서 일부 모습이 찍힌 것이라고 밝히면서 병실 바깥 복도까지 새로 침대를 줄지어 놓고 '개선 환경'이라고 소개하는 사진을 공개했다.
 당국의 해명에도 이 영상이 감염자 급증으로 한계에 봉착한 상하이 의료 체계의 현실을 단적으로 보여줬다는 점에서 중국 사회는 큰 충격을 받은 모습이다.

중국인들은 자국에서 의료 체계가 가장 우수하다는 상하이에서조차 이런 의료 자원이 고갈되는 위기에 처하자 상황이 심상치 않은 분위기다.

이에 따라 중국에서 코로나19 바이러스 확산이 가장 심각한 지역이 된 '경제수도' 상하이의 도시 봉쇄 기간이 당초 계획된 8일간보다 훨씬 길어질 가능성까지 커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