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lam News

곡물협정 복귀한 러…“또 탈퇴할 수 있다” 으름장

우크라이나의 흑해함대 공격에 발끈해 곡물협정 참여 중단을 선언했던 러시아가 나흘 만에 협정에 복귀했다. 그러나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은 “우크라이나가 (협정의) 보장을 어길 경우 다시 탈퇴할 것”이라고 으름장을 놓았다.


로이터통신과 러시아 관영 타스통신은 러시아 국방부가 성명을 내고 "해상 항로의 비무장화에 대해 우크라이나의 보장을 받았다. 현재로서 보장이 충분하다고 판단하고 협정 이행을 재개한다"고 밝혔다고 2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유엔과 함께 러시아 설득에 나섰던 레제프 타이이프 에르도안 튀르키예 대통령도 튀르키예 의회에 이날 정오를 기해 우크라이나 항만에서 곡물 선적과 출항이 재개됐다고 밝혔다.

그러나 푸틴 러시아 대통령은 이후 TV 연설에서 "러시아는 우크라이나가 보장을 어길 경우 협정을 탈퇴할 권리를 여전히 갖고 있다"고 경고했다.

다만 그는 "튀르키예의 중립성, 곡물 가공 산업, 최빈국을 위한 에르도안 대통령의 노력을 고려해 우크라이나에서 튀르키예로 향하는 곡물 운송은 막지 않겠다"며 "어떤 경우에도 튀르키예와 협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안드레이 루덴코 러시아 외무부 차관은 협정 시한인 11월 18일 이후 연장 여부와 관련해 "이는 이번 협정 복귀와 별개의 문제"라며 "연장 문제는 모든 부분에서 협정의 이행 상황을 고려해 결정될 것"이라고 밝혔다.

미하일로 포돌랴크 우크라이나 대통령실 보좌관은 로이터에 보낸 서면 논평에서 "이번 결정은 러시아의 공갈 협박이 단호한 대응에 직면해 실패했다는 것을 보여준다"며 "러시아가 자국의 참여 없이도 협정이 이행되는 데 당황해 협정으로 복귀한 것"이라고 지적했다.

올렉산드르 쿠브라코우 우크라이나 인프라부 장관은 러시아의 협정 복귀와 관련해 안토니우 구테흐스 유엔 사무총장, 에르도안 튀르키예 대통령에 감사한다고 밝혔다.




우크라이나와 서방은 러시아가 기아 위기의 최빈국을 볼모로 식량을 무기화하고 있다고 비판했으나, 러시아는 우크라이나가 민간 선박을 위협하고 있으며 자국산 식량과 비료의 수출을 보장한 협정이 제대로 지켜지지 않고 있다고 주장했다.

신창호 선임기자 procol@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