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엔 인구국(UNPD)은 15일(현지시간) 전 세계 인구가 80억명을 넘어섰다고 밝혔다.
안토니우 구테흐스 유엔 사무총장은 이날 인구 80억명 돌파와 관련해 성명을 내고 “인류 발전에 이정표가 세워진 것”이라며 “이는 지구에 대한 인류 공동의 책임을 고려하면서 다양성과 발전을 축하하기 위한 기회”라고 의미를 부여했다.
또 “인류의 다양성을 기념하고, 공통된 인간성을 깨닫고, 기대수명을 늘리고 산모와 아동 사망률을 극적으로 떨어뜨린 보건 분야 발전에 경탄한다”고 밝혔다.
지구 인구는 1974년 40억명을 넘어선 후 48년 만에 두 배로 뛰었다.
전 세계 인구가 70억명을 돌파한 것은 11년 전인 2011년이다.
유엔은 현재 인구수가 90억명이 되는 것은 15년 후인 2037년으로 예측된다며 “세계 인구의 전반적인 성장률이 둔화하고 있다는 신호”라고 설명했다.
지난 7월 11일 유엔이 발표한 보고서를 보면 인구 증가율은 1960년대 초 정점을 찍은 뒤 급격히 둔화해 2020년에 1% 미만으로 떨어졌다.
유엔은 기대수명과 가임연령 인구 증가로 세계 인구가 2030년에는 약 85억명, 2050년에는 97억명으로 늘어날 것으로 전망한다.
이후 2080년 약 104억 명으로 정점을 찍은 후 2100년까지 이 인구 수준이 유지될 것이라는 게 유엔의 전망이다.
올해 기준 동아시아·동남아시아 인구가 23억명으로 세계 인구의 29%를 차지하고 있다.
중앙아시아·남아시아가 21억명으로 26%를 차지한다.
국가별로는 중국과 인도가 나란히 14억명으로 가장 많은 인구를 보유한 것으로 집계됐다. 인도는 2023년 중국을 추월해 최대 인구 국가로 올라설 것으로 예상된다.
나성원 기자 naa@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