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크라이나 전쟁이 새로운 양상으로 전개되고 있다. 러시아가 우크라이나 전체를 장악한다는 당초 계획을 버린 채 친러시아 세력이 득세하는 동부 돈바스 지역 장악에 총력을 쏟고 있어서다. 2014년 강제병합된 크림반도와 친러 도네츠크인민공화국(DPR)·루한스크인민공화국(LPR)이 포함된 돈바스 지역 전체를 가져가겠다는 계산이다.
반면 우크라이나는 수도 키이우(키예프)와 서부 일대를 방어하던 정예 부대와 기갑여단, 공군력 등을 총동원해 러시아군에 대규모 반격을 가할 태세다.
서방 외교·군사 전문가들은 이 지역에서 어느 쪽이 승세를 잡느냐에 따라 우크라이나 전쟁의 향방이 결정될 것이란 전망을 내놓고 있다.
러시아가 친러 주민이 대다수인 DPR·LPR 지역 외에 도네츠크주와 루한스크주의 우크라이나 주민 거주지역까지 모두 장악할 경우 우크라이나는 동서로 국토가 나뉘는 분단 국가가 된다. 반면 우크라이나군이 이를 저지할 경우 러시아군은 엄청난 전력 손실로 치명타를 맞고 전쟁 수행 동력마저 상실할 개연성이 크다는 것이다.
로이터·AFP 통신은 이리나 베레슈크 우크라이나 부총리가 텔레그램을 통해 돈바스에 속하는 루한스크·도네츠크주, 하르키우 지역 주민의 즉각적인 대피를 촉구했다고 6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총력을 동원한 양국 군의 격전에 대비해 민간인 희생자를 줄이겠다는 행보다.
베레슈크 부총리는 “지금 당장 대피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포화 속에 휩싸인 채 죽음의 위협에 직면할 것”이라며 “그때는 우리도 도울 방법이 없다”고 말했다.
앞서 세르히 가이다이 루한스크 주지사도 러시아가 전력을 재편한 뒤 돈바스 일대에 대한 새로운 공세를 준비 중이라며 주민들의 대피를 호소했다. 가이다이 주지사는 러시아군이 아직도 우크라이나군의 방어선을 뚫지 못했지만 진격로의 모든 건물을 파괴하고 있다며 대대적 공세가 임박했음을 시사했다.
우크라이나 당국은 루한스크 서북부 도시 루비즈네의 경우 60% 정도가 러시아군 점령하에 놓인 것으로 보고 있다.
앞서 러시아는 지난달 25일 우크라이나 동부 돈바스 지역의 완전한 해방에 주력하겠다고 밝혔고, 이후 북부 지역을 중심으로 병력 철수의 징후가 감지됐다. 우크라이나군의 강력한 저항으로 수도 키이우 일대 등 주요 지역에서의 진격이 정체 상태를 보이자 돈바스 지역 점령으로 전략을 수정했다는 게 대체적인 시각이다.
옌스 스톨텐베르그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 사무총장도 전날 기자회견에서 러시아가 향후 몇 주간 돈바스 지역을 완전히 장악하는 데 집중할 것이라고 언급한 바 있다.
이에 맞서는 우크라이나군도 서부에 배치됐던 수십개의 정예 기갑여단과 병력을 동부지역으로 이동시키며 러시아군에 대한 대대적 반격을 가할 태세에 돌입했다. 외신들은 우크라이나군이 체코로부터 제공받은 구소련제 탱크와 러시아군으로부터 노획한 탱크·장갑차·화포 등도 동원하고 있다고 전했다.
전쟁 발발 이후 우크라이나에 대전차·대공 미사일 등을 대거 제공해 왔던 나토 회원국들은 기갑전력 등 추가 무기 지원 방안을 강구 중이다. 이날부터 이틀 일정으로 벨기에 브뤼셀에서 열리는 나토 회원국 외무장관 회의에선 구체적인 무기 추가 지원 계획이 논의될 것이라고 서방 언론들은 전했다.
신창호 선임기자 procol@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