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lam News

러시아, 유엔인권이사회에서 퇴출됐다



우크라이나에서 민간인 학살을 저지른 러시아가 유엔 인권이사회에서 퇴출당했다. 유엔총회는 7일(현지시간) 긴급 특별총회에서 러시아의 유엔 인권이사회 이사국 자격을 정지하는 결의안을 찬성 93표, 반대 24표, 기권 58표로 가결했다.

표결에 불참하거나 기권한 나라를 제외한 유엔 회원국 중 3분의 2 이상이 결의안에 찬성, 러시아는 인권이사국 자격을 박탈당하게 됐다. 2011년 반정부 시위대를 폭력 진압한 리비아에 이어 유엔 인권이사회에서 쫓겨난 두 번째 국가라는 불명예를 안았다.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상임이사국이 유엔 산하 기구에서 자격 정지된 것도 이번이 처음이다.

미국이 추진한 이번 결의안에 서방 국가들과 한국 등이 찬성표를 던졌지만, 북한과 중국 이란은 반대표를 행사했다.

지난달 유엔총회에서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을 규탄한 결의안과 인도주의적 위기를 초래한 책임을 지적한 결의안에 모두 반대한 북한은 이날 표결 직전에도 김성 유엔대사의 연설을 통해 공개적으로 반대 의사를 밝혔다.

앞서 러시아군은 우크라이나 부차 등에서 민간인 수백 명을 집단 학살했다는 증거가 드러난 상황이다.

결의안은 심각하고 조직적인 인권침해를 저지른 나라는 유엔 인권이사회 이사국 자격을 정지할 수 있다는 유엔 규정이 그 근거가 됐다.


표결에 앞서 세르게이 끼슬리쨔 주유엔 우크라이나대사는 "러시아의 행동은 도리를 벗어났다. 러시아는 인권침해를 저지르는 나라일뿐 아니라 국제 평화와 안보의 토대를 흔드는 나라"라며 결의안에 찬성할 것을 호소했다.

반면 겐나디 쿠즈민 주유엔 러시아차석대사는 "조작된 사건에 근거한 우리에 대한 거짓 혐의를 부인한다"며 부결을 촉구했지만 전혀 먹혀들지 않았다.

반대표와 기권표, 아예 표결에 불참한 나라를 모두 합치면 193개 유엔 회원국의 절반을 넘는다고 AP통신이 지적했다. 인도, 브라질, 이집트, 사우디아라비아, 아랍에미리트(UAE), 인도네시아 등 기권한 나라도 많았다.

신창호 선임기자 procol@kmib.co.kr